일 열심히 하는 게 어때서 황상민의 성격상담소 5
황상민 지음 / 심심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폴 고갱(Paul Gauguin)은 누구나 한번쯤 들어본 19세기 프랑스의 대표적인 화가다. 그의 작품 중 눈 여겨 볼만한 작품을 고른다는 건 어리석은 일이리라. 모든 작품이 유명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한 작품을 꼽으라면 1897년 작인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를 들 수 있다. 고갱이 이 작품을 그린 시기는 극심한 생활고와 건강 악화가 있었던 때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이 시기에 고갱의 딸이 숨을 거두었다. 남겨진 우리에게 대작이자 명작이 있는 이유는 그의 깊은 고통 덕분이다. 물론 고갱 자신도 지인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이 작품이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작품의 오른쪽 끝에는 갓난 아기가 있으며 왼쪽 끝에는 백발의 노인이 위치하고 있다.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여정을 기다란 화폭에 담아 놓았다. 이 작품의 길이가 4m(375cm)에 가깝다는 걸 감안한다면(고갱이 의도했든 하지 않았든) 감상하는 사람이 천천히 걸어가며 생각할 수 있는 그림이다. 갓난 아기는 머리를 옆으로 돌리고 있어서 얼굴에 검은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보통 아기라면 웃는 표정이라든지 우는 표정을 표현하기 마련인데 죽은 듯 무표정하다. 백발의 노인은 구겨진 듯 앉아있고 무엇인가 괴로워하며 머리를 감싸고 있다.


그림으로만 보자면 태어나는 생명은 기쁜 일이 아니며 죽음이 다가오는 건 괴로운 일일 뿐이다. 고달프고 슬픔에 젖은 고갱 자신의 삶이 그림에 깊게 배어 있다. 감상하는 사람이 고갱의 마음을 완전히 이해할 순 없지만 그의 아픔은 감상자에게 미미하게나마 흘러 간다. 고갱의 인생과 작품을 보면 그는 평생 자신을 깊게 돌아보며 살았던 거 같다. 그리고 작품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그런 성찰을 더 이상 자신에게 국한하는 게 아니라 우리모두에게 돌리고 있다. ‘우리가 어디서 왔는지, ‘우리는 누구인지, ‘우리가 어디로 가는지를 말이다.


고갱의 바람과 달리 우리는 자기를 성찰하는 대신 자신을 잃어가는 시대에 살고 있다. 어느 대학 소속인 자신, 조직의 한 부분인 자신, 갑이나 을의 위치인 자신, 직업이 무엇인 자신. 우리는 그것이 자신을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할 때가 많지만 정작 순수한 자기 자신은 없다. “너 자신을 알라라는 그리스의 유명한 격언이 무색하게 그렇게 우리는 자신을 잊어가며 잃어버린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존재를 고민하기에 이런 상황 속에서 우리는 힘들고 지친다. 그래서 그런지 시간이 가면 갈수록 위로와 격려를 말하는 책들과 미디어들이 많아진다. 괜찮다고, 그럴 수 있다고, 힘내라고 말한다. 분명히 힘과 위로가 되지만 무엇인가 부족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황상민 교수는 이 책을 통해 그가 개발한 성격유형검사인 WPI(Whang’s Personality Inventory)의 다섯 가지 유형 중 에이전트에 대해 소개한다. 실제 상담의 예를 들며 대화하듯 술술 이야기한다. 각각의 예들은 모두 다르지만 중심을 흐르는 맥은 자기 찾기. 그래서 읽는 동안 가장 근본적인 질문에 정직하게 서도록 돕는다. 그리고 그렇게 자신을 찾고 인정하는 과정은 더 나아가 관계를 회복하는 과정으로 연결된다. 외부로부터 주어진 자신이 아닌 순수한 자신을 찾는 것은 건강한 자아를 회복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매우 실존적인 문제다.


다시 고갱의 작품으로 돌아가보자. 작품의 제목을 직역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는 어디서 오는가? 우리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흔히 우리가 아는 제목과 비교하여 단어 하나가 다르다. 바로 누구인가무엇인가로 바뀐다. 자기를 알지 못해 힘들어하고 괴로워하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고갱은 이렇게 묻고 있다. “당신은 무엇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