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공부하는 게 수학 맞습니까? : 초등 부모용 지금 공부하는 게 수학 맞습니까?
최수일 지음 / 비아북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 저는 어릴적 수학을 가장 좋아하는 학생이었어요.

점점 학년이 올라갈수록 힘들어지고 점수가 안나오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학이 좋았어요. 왜냐면 딱! 하나의 정답이 있는게 좋았거든요.

이거 같기도 하고 저거 같기도 한 애매모호한 문제가 전혀 없잖아요. 수학은~!

그리고 노력하면 댓가가 바로 바로 나오기도 했던 과목이었어요.



고등학교 시절에도 수학의 정석을 풀며 어려운 문제를 스스로 풀어내면

그 뿌듯함이 이루 말할 수 없을만큼 컸던 기억이 있어요.

그래서 그런지 수포자를 이해할 수 없었고 더군다나 초등생에서 수포자가 나온다는

말을 절대 이해할 수 없었던 저였지요. 그랬던 저인데 이제 아들이 초등생이 되어

수학을 어려워하는걸 보니 너무 너무 답답하더라고요.

왜 이 쉬운걸 이해 못하는지...왜 헷갈려하는지.... 뭐가 잘못된건지 답답한 마음

한가득이었는데 '초등 부모용 수학공부책'이 있어 바로 손에 들게 되었답니다.




아직 아들은 초등 1학년이지만 벌써부터 수학을 어려워하니 어떻게 아들에게

수학은 재미있는 과목이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을까 싶었어요.





'지금 공부하는게 수학 맞습니까?' 책에는 우리가 사는게 필요하지도 않은 원뿔의

넓이 등등 이러한 것들을 왜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되어 있는데 정말

수학의 문제를 풀기위한 공식이 필요한게 아니라 초등수학부터 고등수학까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결되어진 개념을 배우는 것이예요!

' 포괄적으로 넓은 의미에서 수학이란 과목은 삶에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구나' 싶더라고요.




책의 작가인 최수일 박사님은 수학교육계에 오랜 경험이 있으신 작가님이라

다양한 경험과 사례들을 제시해 주셔서 좋았어요.





사실 저의 학창시절 수학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식을 외우는 쪽으로 흘러가 버려서

점수는 점점 낮아졌었어요. 아들은 저같은 절차를 밟지않길 바라며 더 정독했답니다.




차례만 보면 다 아는거잖아? 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예습, 질문, 복습... 뻔한 얘기네 싶은데 이 뻔한 과정조차 저는 아들에게

해주지않고 있었다는걸 알게되었어요.



며칠전 처음으로 아들과 함께 수학 교과서를 펼치고 다음에 배울 페이지를 간략하게

예습을 해보았어요. 그리고 예습했던걸 수업하고 온 날 다 맞았다며 한껏 신나서

집에 왔더라구요. 정말 짧고 간단하게 예습했던게 다였는데 그 한번의 행동으로

아이의 수학시간이 즐거움으로 바꼈다는게 넘 뿌듯했어요.



예습에서 그리 큰 효과를 봤으니 복습도 잘 해야겠다 싶고 선생님 놀이도 시작해

보려고 칠판을 거실로 옮겨 놓았답니다.

본문 56p

수능 만점자들은 문제를 양적으로 많이 풀기보다 문제 하나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을 때까지 풀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들이 푼 수능 문제집은 과목별로 많아 봤자 2~3권이었습니다.

설명을 해보면 자기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이 명확해져서 자기가 아는 것은 넘어가고 모르는 것은 챙기게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초등수학은 수학교과서가 있고 수학익힘책이 또 있어서 문제풀이도 같이 해볼 수 있지요. 사실 지금까지 집에서 교과서는 전혀 보지않고 문제집만 펴놓고 아이한테 풀어보라고

강요했던 제가 너무 한심했다 싶더라고요. 아이의 학교에서 나가는 진도도

모르고 무작정 문제집만 들이댔으니....

본문 91p

개념적인 학습은 결과에만 집착하는 것에서 벗어나 훨씬 넓고 다양한 생각으로 가능성을 넓혀나가는 공부입니다.

본문 92p

수학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은 누가 시켜서 또는 누가 도와줘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수학 개념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완성됩니다.

본문 96p

21세기에는 정보가 없어서 무엇을 못 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가 너무 많아서 어떤 정보를 이용해야 할지 모르는 것이 더 문제가 됩니다. 그 많은 정보 중 꼭 필요한 정보를 끄집어내어 연결하는 능력이 필요하지요. 서로 관계가 없을 것 같은 정보를 연결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능력, 이것이 곧 창의력입니다.




본문 117p

교과서 연습문제와 익힘책 문제를 풀고 나서 자녀가 문제를 더 풀어보고 싶어 한다면 너무 어려운 문제집을 갑자기 풀기보다 교과서 수준의 가벼운 문제집을 풀어봅니다. 문제를 푸는 목적은 문제 풀이 기술을 익히는 것이 아니라 개념 정리를 보다 강화하는 것입니다.



교과서의 중요성을 익히 들어 알면서도 사실 초등 1학년이라고 너무 쉽게만

생각했던 것 같아요. 아이에겐 생소하고 처음 접하며 이해안되는게 당연한건데 말이죠.

다시 한번 교과서의 중요성을 느꼈고 집에서 아이와 교과서로 예습, 복습, 선생님놀이를

해야겠다 싶어요. 이제 조금씩 아이도 수학에 자신감이 붙겠죠?^^♡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