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진화는 구운 열매에서 시작되었다 - 700만 년의 역사가 알려주는 궁극의 식사
NHK 스페셜 <식의 기원> 취재팀 지음, 조윤주 옮김 / 필름(Feelm)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더 많은 책 서평 이 궁금하다면? 클릭!! >



 

책 제목부터가 흥미롭다. 무슨 이야기를 할 지 정말 궁금하게 만드는 제목이다. '구운 열매'라는 건 무엇을 의미하는건지, 불의 사용과 함께 인류의 삶이 바뀌었다는 이야기를 하는 걸까. 마치 그리스 신화 속 프로메테우스가 생각나게 하는 단어였다. 동화 같은 신화속 인물을 생각하며 글을 시작했다.

물론, 내 예상과는 많이 다른 글이었지만, 그래도 재밌는 책.

한번 시작해보자.

내 예상과는 달리 책은 '구운'이 아닌'열매'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었다. 즉 사람의 먹거리가 사람의 몸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 지에 관한 책이라고 할까.

'탄수화물' '소금','지방', '술' 과 같이 우리가 관심을 많이 갖는 음식들을 다룬 책이다.

먼저 우리에게 가장 '핫'한 영양소인, 탄수화물에 대해 이 책은 시작한다.

탄수화물은 정말 우리의 건강의 적 일까?

탄수화물을 핫하다고 표현한 이유는, 현대 인류가 가장 줄이고 싶어하는 영양소이기 때문에. 특히 선진국병에 걸리기 쉬운 생활패턴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극도로 탄수화물을 피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예전에 봤던 다큐멘터리에서도, 지방을 탄수화물대신 영양소로 사용하는, 이른 바 '케톤 상태'를 유지하는 저탄수고지방(많이들 저탄고지라고 부르는) 식단으로 건강해진 사례를 다루었다. 저탄고지 식단을 지향하던 사람은 심지어, 의사였다.

이렇듯 현대 사람들은 최선을 다해서 탄수화물을 줄이려하고 탄수화물 중독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이 책에서는 '과연 정말 탄수화물이 몸에 안 좋을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결과적으로 이야기해보자면, 이 책에서는 'No'라고 이야기 한다. 과거 우리 인류의 조상 호모 에렉투스는 탄수화물을 익혀먹으면서 포도당을 바로 섭취할 수 있게 되었고, 이것은 '뇌의 거대화'를 결과로 가져왔다. 뇌는 기본적으로 포도당만을 연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익힌 녹말'류의 음식은 우리 몸에 필수적이라는 거지.

게다가, 가열 조리로, 긴 장이 필요하지 않아, 인류의 장은 작고 짧아졌다 (퇴화한 증거로 맹장이 아직 남아있음) 즉, 우리는 익힌 탄수화물을 먹기에 적합한 상태로 진화를 했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많은 연구에서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오래 지속되면 많은 문제가 몸에 일어난다는 연구가 있다. 이유는 단백질과 지방을 분해하며 나오는 독소들이 몸을 해친다는 거지.

결국 탄수화물은 우리 몸이 가장 알맞은 에너지 원이다. 이 책에서는 '청정 에너지' 라는 표현을 쓴다. 사용할 때 독소들이 나오지 않으니까. 즉, 몸은 기본적으로 탄수화물을 에너지로 써야한다는 것

이런 것을 보면 근육을 과하게 키우는 것은 우리의 생각만큼 몸에 좋은게 아닐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몸의 근육을 크게 만들기 위해서는 체지방을 깎아내며 근육을 키우는 과정이 필요하다. 분명 그 과정에서는 탄수화물의 섭취를 줄여야 하고, 단백질을 늘려야 될테고, 단백질을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몸에 독소가 쌓일수 있을것이다. 게다가 몸에 이로운 장내 세균을 생성시키고 있다고도 이야기 한다.

 

 

물론, 사람들이 탄수화물을 피하는 이유는 당연히 있다. 바로 탄수화물 중독 때문이지. 우리는 탄수화물을 먹기 시작하면 적당량의 탄수화물 이상을 섭취할 때가 많다. 위의 표에서 2개 이상 해당하면 탄수화물 중독 위험군, 3개 이상에 대핟앟는 사람은 탄수화물 중독일 가능성이 많다고 한다.

탄수화물 중독 형상은 아무래도 현대에 오면서 생긴 증상이라 보여진다. 정제 탄수화물과 정제된 당 섭취에 우리의 몸이 정신을 잃는 거지. 너무 맛있잖아.

그래서 케잌이나, 초콜릿과 같은 디저트가 밥, 빵, 면을 대신할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밥은 밥이고 설탕은, 설탕이다.

결국 '양질의 탄수화물'을 '끼니마다' '제대로' '간식없이' 섭취해야 하는거지.

... 하, 왜 몸이 좋아하는 것들은 이렇게 심심하고 밋밋한 것들인가 몰라 쪼꼬케잌이 몸에 아주 좋은 음식이면 얼마나 씬이가 나겠어

전에 '돈의 속성'에서 읽은 부분이 있다. 운동이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해야하는 것 이라고. 우리가 볼 때 예쁜 몸이 꼭건강함과 직결되진 않는다. 적절한 운동과, 적절한 섭취. 가장 이상적인 상태의 몸은 어떤것이지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적절하고 작은 근육과, 적당히 오른 살이 몸에 가장 좋은 상태일지도 모르겠다.

인간 최초의 마약은 소금이다

정말 자극적인 표현 아닐까? 소금을 마약이라고 표현하다니. 물론, 저자는 우리의 몸에서 꼭 필요한 영양소라고 이야기한다. 당연하지 우리 몸은 소금 없이 살수가 없는걸.

하지만, 우리 몸이 유지할 수 있는 나트륨 량이 정해져 있고, 그건 하루에 남자 7.5g 여자 6.5g미만 (...이하도 아닌 미만이라니) 이다. 물론 이건 일본인에 관한것이지만 (저자가 NHK <식의 기원> 취재팀이다 ) 아마 한국인도 비슷하지 않겠어? 그런데 일본인들 평균 소금 섭취량은 남성은 10.8g 여성 9.1g 이다. 아마 한국도, 정확한 수치는 모르지만 오버해서 먹고 있겠지.

문제는 콩팥이 이것을 처리하는데 40대부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잘 관리를 해야하나는게 이 파트의 요지인데. (물론 소금이 얼마나 중요한 지, 그리고 소금이 얼마나 맛있는지 ㅋㅋㅋ 역시 나와있다) 나는 매번 이런 글을 볼때마다 난감하다.

 

나의 의문은 언제나, 그래서 저걸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데? 이지.

사실, 많이 먹는지 적게 먹는지 어떻게 알아 내가 하루에 나트륨을 얼만큼 먹는 지 알 수 있는 측정 방법이 없다. 그리고, 라면은... 나트륨의 권장량의 거의 80~90%의 나트륨 함량을 갖고 있다고 써 있는데 1701mg 이라고 써있단 말이지 (내님 집에 열라면이 있다. 열라면 나트륨 함량이다) 저걸 g으로 이야기 하면 1.7g이다. 그러면 위의 7.5g 혹은 6.5g에 1/4정도의 수치인데 왜 86%란 말인가. 알 수가 없네.

물론.

어쨌든. 나트륨을 조절해야하는 건 맞다. 나 역시 아마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 식단을 갖고 있을 것이다. 과자도 단 과자보다는 짠 과자를 좋아한다 (그렇게 감자칩이 좋더라 ㅠ 특히 레이즈) 라면도 좋아하고.

조금 안심하는 건, 내가 하루에 섭취하는 음식량이 적다는 것. 많이 먹지 않으니, 짜게 먹어도 소금량이 생각보다 적을 수 있다는 것이지.

그래도, 소금량을 줄이고 야채량을 늘려야 하는 건 맞다. ... 하. 야채. 증말.

채소 섭취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무척 부지런해져야 하는데 말이지. 노력해봐야지. 그래야 내님도 행복해 하실테고.

 

정리하며.

사실, 위 내용 말고도 '지방'(특히 오메가 3) , 술(인간에게 축복이자 행복) , 그리고 인류의 미각에 대한 이야기가 추가로 나온다.

하지만, 내용을 쓰다보니 생각보다 너무 길어져서 이 부분은 책을 통해서 확인해 보시는게 어떨까 싶다.

TV프로그램 내용을 책으로 만들다 보니, 확실히 글이 술술 잘 읽힌다. (읽으면서 심지어 다큐멘터리 화면이 보이는 것 같다. ) 아쉬운건 역시 TV프로그램 내용을 책으로 만들다보니, 글에 깊이감이 적다. 그래도, 흥미롭고 즐거운 주제였다.

그리고, 나는 지극히 개인적인 이유로. 일본의 과학에 관한 글을 모두 믿진 않는다. 유사 과학적인 요소들이 마치 진실인 듯 쓰여진 것들이 있어서. (식물에게 칭찬을 하면, 잘 자라고 욕을 하면 못 자란다, 라든지 아니면 물에게도 칭찬을 하면 육각 모양을 유지한다든지. ... 물은 O의 강력한electro negativity로 H의 강렬한 델타 +상태로 분자끼리 O와 H과 생각보다 강한 결합을 유지해서 사이에 공간을 만들 수 있다. 뭐, 어렵게 말했지만, 얼음이 되면 항상 그 공간이 생기지. 이 육각 공간이 생기는게 건강에 좋으면 ... 그냥 얼음 먹으면 되잖아 ... ) 좀 가려 읽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쪽이다.

뭐, 이건 사실 일본 글에만 해당하는게 아닐지도 모른다. 나는 그런 우리나라 책도 봤으니까. 유사 과학이 나쁘다기보다는 (나는 그것들 중 현대 과학으로 풀리지 않는 요소들도 있을거라 믿는다) 유사 과학임을 분명히 밝혀주어야 독자들이 가려서 판단할텐데, 그런 요소들이 없는 책들을 내가 일본 책에서 자주 발견했기 때문에, 조금..신뢰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책은 다큐멘터리이니, '이러한 의견도 있다' 혹은 '이런 연구결과도 있다'정도로 받아들일 예정.



 

 

이렇게 이야기 하면, 이 책이 유사과학 투성이 구나, 라는 오해는 안하셨으면.

다양한 과학적 연구들을 참고해서 만들어진 책이다. 하지만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가설'들도 섞여있다. (이 책은 분명이 '가설'이라고 이야기 해준다)

내가 이야기하고 싶은 요지는, 책이라고 모두 진실이 아닐 수 있으니, 그리고 각자의 환경이 다르니, 필요한 지식을 선별할 수 있는 눈이 필요하다는 것.

여튼 나는, 이 책에 충고에 따라

오메가 3는 잘 챙겨 먹을거고, 술은 500ml리터 미만으로 마시는걸로.(매일 마시는 전제하에 맥주 500ml이상 마시는게 건강에 해롭다, 라는 결과가 있다고 한다)



< 더 많은 책 서평 이 궁금하다면? 클릭!!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