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7대 불가사의 - 과학 유산으로 보는 우리의 저력
이종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나는 방송에서 자주 하는 사극을 보지 않는다. 리얼리티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정극들은 왜들 그리 시끄럽게 악을 쓰는지, 옛날 왕들은 다 가는 귀가 먹었다는 건지, 도대체 모두 "황공하여이다" "성은이 망극하오이다" 악을 써댄다. 최근에 인기 대박이던 <주몽> 역시 그렇다. 왜들 그리 '거라'체를 쓰는지, '밥을 먹어라'가 아니라 '먹거라',  '앉아라'가 아니라 '앉거라', '오너라'가 아니라 '오거라', '하여라'가 아니라 '하거라' 계속 귀에 거슬리는 '거라'체 때문에도 보기가 싫었다. 고구려 사람들이 '거라'체를 썼나? 그럼 왜 다른 말들은 다 현대어인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었던 것이다.

그러던 차에 방송에서 서길수 교수가 <주몽>에 대한 유감을 피력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주몽>이 역사를 왜곡하는 것에 대한 유감을 피력하는 가운데 중요한 말을 했다. "한국사람은 드라마를 통해 역사를 배운다. 그래서 드라마가 역사를 왜곡하는 것은 너무나 위험한 일이다."

그렇다. <주몽>에서는 모팔모가 강철을 만들지 못해서 안달하는 장면이 매우 많이 나온다. 한나라의 제철기술을 얻기 위해 애쓰는 장면도 나온다. 한나라의 철기군 앞에서 꼼짝 못하는 장면도 심심찮게 나온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제철기술이 얼마나 발달했었는지 등에 대해서는 전혀 제대로 그려내지 않는다. 단지 고조선의 강철을 모팔모가 재현하는 데 그친다.

이 책은 그런 우리나라의 선조들이 얼마나 많은 첨단과학기술을 갖고 있었는지 제대로 알려준다. 우리 선조들이 누구보다 앞선 고대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는 것 자체가 믿을 수 없는 불가사의다. 왜인가? 우리는 역사를 제대로 배울 기회가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드라마를 통해 역사를 배운 우리가 과연 우리의 선조들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그것 자체가 불가사의일 것이다.

이제 공부 좀 많이 해야겠다. 정말 재밌고, 제대로 알아야 할 우리의 역사, 우리 선조들의 과학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 책을 한 번 더 정독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