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우연들 (리커버 에디션)
김초엽 지음 / 열림원 / 2022년 9월
평점 :
품절


  • 김초엽은 스타 소설가다. 그녀의 소설을 읽어보지 않았어도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그의 이름을 한번씩은 들어봤을 것이다. 스타 강사의 수업을 들어보지 않은 사람이여도 요즘 유명한 수능 강사들의 이름을 한번씩은 들어봤듯이. 출판사는 그 스타성을 분명히 알고 잘 이용하고 있다. 그녀가 쓴 많은 소설의 표지에는 그녀의 얼굴이 실려있다. 수업과 성적은 항상 별개임이 분명한데도, 일타 강사의 수업을 들으면 ‘스타강사가 하는 수업’이라는 사실 자체로 학생은 성적이 향상되는 느낌을 받는다(다른 학생들이 강사에게 부여한 권위를 그 수업을 듣고 있는 자신에게도 부여함). 유명한 소설가의 소설을 읽을 때도 비슷한 느낌을 받는 듯 하다. 소설의 질보다도 소설가의 스타성이 그 소설을 유명하게 만든다.

  • 유명에 세금이 붙는다는 ‘유명세’라는 말은, 유명한 만큼 그 명성에 따르는 부작용도 반드시 있다는 진실을 잘 나타낸다. 소설가라는 냉정한 세계에서 김초엽은 실력으로 자신을 증명해야 했다. 아마 평생토록 증명해야 할 것이다. 노벨상을 받은 작가조차 신작을 낼 때마다 세상에게 다시 평가를 받곤 한다.

  • 대중에게 ‘좋은 작가’라는 칭호를 받는 일은 꽤 어렵다. 한 사람이 쓰는 모든 글이 모든 면에서 훌륭할 순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꽤 융통성이 있는 편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그 작가의 여러 글을 읽으며 대략적인 평균치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독자들은 그 평균치를 각자의 방식으로 계산하고 나름의 평가를 내린다. 다른 계산법들로 계산된 평균치들을 합하여 또 평균을 내는데, 그 평균이 바로 한 작가를 향한 대중의 평가이자 시선이 아닐까 나는 생각한다.

  • 이런 식으로 나도 독자로서 내가 읽은 작품의 평가에 기여한다. 나만의 고유한 계산식을 이용하여. 이 과정에선 반드시 지켜야 하는 전제 조건이 있다. 한 작품을 평가하기 위해선 평가자는 그 작품을 반드시 직접 읽어봐야 한다. 당연한 말을 뭐 이렇게 길게 하냐고? ‘작품을 읽어보지 않은 채 작품이 평가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스스로 반성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동안 얼마나 많은 작품을 읽어보지도 않고 평가해왔는가. 단지 기존에 있던 작가의 유명함만으로.

  • 그래서 이 책을 보고 강한 흥미를 느꼈다. 많이 들어본 작가. 유명한 젊은 sf 작가. 그녀의 소설이 사람들의 입에서 오르내릴때 나도 그 대화에 끼고 싶었다. 이 <책과 우연들> 에세이와 함께 읽은 책은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이라는 소설이다. 두 권 정도 읽었으니 이제 김초엽 작가에 대한 나만의 의견을 말해도 되지 않을까. 엠바고가 풀린 느낌이다.

  • sf 작가로서 sf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부분이 정말 좋았다. 소설가로서뿐만 아니라 과학자로서 sf를 대하는 모습과 고민은 다른 작가들과는 다른 새로운 모습이였다. 내가 에세이를 좋아하는 많은 이유 중 하나는 ‘작가와 나의 공통점’을 찾는 데에 있다. 나도 과학을 좋아하고, 어슐러 르귄의 소설을 좋아하고 언어는 불완전한 매개체라고 생각한다. 에세이를 통해 천상계에 존재하던 소설가는 내가 있는 현실세계, 지상으로 내려온다. 에세이를 통해 소설가도 나와 비슷한 경험을 하고 비슷한 고민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그것이 에세이가 주는 미덕이다.

  • 소설을 쓰는데 작법서가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에피소드는 꽤 흥미로웠다. 소설가들도 날부터 잘 쓰는게 아니였구나, 좀 더 잘 쓰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하는구나라는 바보같은 깨달음과 동질감을 얻었다. 이 책을 읽은 다른 분들도 이렇게 생각할 거 같다. “나도 작법서 좀 찾아볼까?”


출판사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책과우연들

#김초엽

#열림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