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아홉 번째 캐서린에게 또 차이고 말았어
존 그린 지음, 최필원 옮김 / 북폴리오 / 2020년 2월
평점 :
절판


시선을 사로잡는 제목이다. 제목을 보면 알 수 있듯 주인공인 콜린은 오직 캐서린(Katherine)이라는 이름을 가진 여자에게만 사 랑에 빠진다. 정말 이름으로만 사랑에 빠진다고 말할 수도 있을 법한 것이, 콜린을 거쳐 간 열아홉 명의 캐서린들은 캐서린이란 이름 외에는 그다지 공통점이 없다. 콜린은 어떤 캐서린과는 큰 감흥 없이 금방 헤어진다. 어떤 캐서린과는 연애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의 짧은 접점만을 가질 뿐이다. 그러나 열아홉 번째 캐서린은 좀 다르다. 열아홉 번째 캐서린에게 차인 콜린은 극복할 수 없을 것만 같은 깊은 슬픔에 빠진다. 콜린은 캐서린의 연락을 기다리고, 울고, 먼저 전화를 걸어 보기도 하고, 멍하니 생각에 빠지기도 하지만 열아홉 번째 캐서린의 마음이 이미 자신을 떠난 지 오래라는 사실만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결국 이대로는 도저히 실연의 아픔을 견딜 수 없을 것 같다고 생각한 콜린은 친구인 하산과 함께 무작정 자동차 여행을 떠난다. 목적지 없이 그저 달리기만 하던 콜린과 하산은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의 무덤을 보기 위해 테네시 주 것샷이라는 지역에 다다른다. 그들은 것샷에서 매력적인 투어 가이드이자 구급대원인 린지, 린지의 어머니이자 큰 공장의 책임자인 홀리스를 만나고 그들의 집에서 머무르게 된다.

여기에서 언급되는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은 그 사라예보 사건으로 살해된 피해자이다. 그의 죽음은 제 1차 세계 대전을 촉발하는데, 소설의 내용과는 아무런 상관도 없는 이런 정보가 <열아홉 번째 캐서린에게 또 차이고 말았어>에서는 이따금 자세하게 언급된다. 이는 주인공 콜린의 성격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로 추정된다. 콜린은 명석하고 기억력이 좋지만 천재는 아니다. 콜린의 부모님은 어렸을 때부터 콜린에게 큰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은데, 콜린은 '노벨상을 기대하진 말아야 할' 적당히 똑똑한 소년으로 자랐다. 콜린은 애너그램에 천부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으며 콜린의 생각은 끝없이 뻗어나간다. 아무 때나 자신이 알고 있거나 기억하고 있는 정보들을 친구는 물론 독자들에게도 줄줄 이야기하는 모습이 사랑스러울 것까지는 아니더라도 제법 재미있다.

콜린과 하산은 홀리스의 집에 머무르면서 그녀의 일을 돕는다. 그들은 린지와 함께 것샷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 만나는 사람들을 좋아하기도 하고 싫어하기도 한다. 그와 동시에 콜린은 연인 관계에서 누가 차는 쪽에 속하고 누가 차이는 쪽에 속하는지를 예측할 수 있는 공식을 만들기 위해 연구한다. 콜린의 일상은 그 연구에 대한 몰두, 새로운 사람들과의 다양한 관계, 그리고 캐서린에 대한 그리움으로 채워진다. 콜린의 연구는 결국 어떻게 되는지, 콜린이 열아홉 번째 캐서린에게서 완벽히 벗어날 수 있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소설을 읽어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콜린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필요하다. 자신이 천재가 아니라도 상관없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 캐서린에 대한 고통스러운 감정들을 극복하는 것. 소설을 읽다 보면 콜린이 천재가 아니라도, 캐서린과 다시 이어지지 않더라도 행복하게 살 수 있기를 바라게 된다. 집을 떠난 콜린이 겪고 있는 괴로움들은 청춘의 열병 같은 것이고 그 열병이 낫고 나면 콜린이 한 층 더 성숙한 인간이 되어 있을 거라는 사실을 독자들은 안다. 괴로운 현실에서 벗어나 어디론가 떠나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그렇기 때문에 더 콜린이 행복해지기를 바라게 되는 건지도 모르겠다. <열아홉 번째 캐서린에게 또 차이고 말았어>는 소소하지만 따뜻하고 아름다운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