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 알고 싶은 영어의 비밀 Nominalism
유지훈 지음 / 투나미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규 교육 과정에서 계속 영어를 배웠지만 노미널리즘이라는 개념은 처음 들었다. 많은 영어 문장들이 동사나 형용사를 명사화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고 하는데, 이렇게 동사나 형용사 등이 명사화되는 것을 명사화, 노미널리제이션이라 한다. 노미널리즘은 명사화 과정을 역으로 따라가며 문장을 이해하는 방법론인 셈이다. 



  생소한 개념 같지만 한국 학교의 교육 과정에서도 노미널리즘의 원리가 적용된 어구들을 가르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책 읽어 보면 이런 문장들을 각각의 카테고리로 세분화해서 많은 예시를 소개하고 있다. 노미널리즘이라는 개념이 생소하더라도, 책 속에서 한 번씩 눈에 뜨이는 예시들이 보인다. 예를 들어, 'The Survival of the Fittest', 즉 '적자생존'이라는 말은 'The Fittest survives'라는 문장과 같다. 'resemblance between the two stories'는 '두 이야기 사이의 닮음'이라고 직역할 수 있는데, 이 말은 곧 'The two stories resemble'라는 문장과 같은 의미이다. 특정한 전치사와 같은 단서들을 이용해 전자에 해당하는 문장들을 후자로 변환하여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노미널리즘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링컨의 게티즈버그 연설을 언급한다. 특히 'government of the people, for the people'이라는 문장에 대한 해석이 '국민의, 국민에 의한'이라고 퍼져 있는 사실에 대해 지적한다. 아주 유명한 문장이고 아주 유명한 해석이지만, 잘 생각해 보면 '국민의, 국민에 의한' 이라는 말이 도대체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가 어렵다. '국민의 정부'라는 게 정확히 무슨 말이란 말인가? 저자는 '~의'라는 조사를 가급적 쓰지 않는다고 하는데, 그건 '~의'라는 조사가 내포하는 뜻이 너무나도 많기 때문이다. 바로 위에 첨부한 부분을 보면 알 수 있다. 책을 끝까지 읽어 보면 저자가 게티즈버그 연설의 마지막 문장에서 보통 '국민의, 국민에 의한'이라고 해석되는 부분을 어떻게 해석했는지 알 수 있다. 

 노미널리즘이라는 개념이 한국인에게는 그렇게 익숙하지 않고, 그래서인지 저자 역시 노미널리즘으로 문장을 읽는 데 익숙해지려면 대략 2주 정도의 시간 동안 집중해서 연습해야 한다고 한다. 과연 책을 한 번 읽는 것만으로는 노미널리즘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다소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책 속에 소개된 문장들과 문장을 해석하는 방법을 따라가며 읽다 보면, 노미널리즘이라는 방식에 익숙해질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