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3호 열차 - 제5회 정채봉 문학상 대상 수상작
허혜란 지음, 오승민 그림 / 샘터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5회 정채봉 문학상 대상 수상작
503호 열차 
허혜란 글 
오승민 그림 
샘터출판사



503호 열차 
큼직한 글씨, 예쁜 그림들을 기대하고 열었던 오랜만의 동화책 

기대했던  발랄하고 따뜻한 그림 동화책이 아니라 
1937년 강행된 
구소련의 '고려인 강제 이주'라는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한 작품이라니

무겁고도 어려운 이 내용들이
동화를 즐겨 읽는 어린아이들이 과연 이해를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한 장 한 장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503호 열차는 
조국을 떠나 연해주에 살던 사람들이 
어느 날 영문도 모른 채 
중앙아시아의 황무지로 강제 이주 당하는 이야기다. 

강제 이주민이 탄 503호 열차는 
한 마디로 절망이라는 이름의 비극이 가득한 열차, 
죽음의 그림자가 어른거리는  
슬프고도  차갑고 무서운 지옥이나 다름없지만 
절망만이 가득 찬 것은 아니라는 
강한  메시지를 던진다. 

그 안에서도
아기가 태어나고 젊은 남녀가 결혼하며 
할머니가 손자에게 씨앗을 물려준다. 
슬픈 일과 무서운 일 속에서도 
결코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이야기들로 
우리에게 희망과 강인한 생명력을 보여주고 
 새로운 시작과 계속되는 삶을 희망으로 노래한다. 

절망의 열차 너머 희망의 열차가 다가오고 있음을 보여주는 
따뜻하면서도 뭉클한 동화이다.







이 동화는 
정채봉 문학상 대상 수상작이다.

'동심이 세상을 구원한다'는 정채봉 작가, 
'503호 열차도 
거친 세상을 
동심과 순수함으로 그리움을 담아내고
 또 눈물로 어루만지는 따뜻한 느낌의 글이었다. 

강제 이주민들은 바로 우리와 같은 피가 흐르는 동포들이다.

묻혀 버릴 수도 있고, 잊혀 버릴 수도 있는 
우리 민족의 아픔을 
뭉클하면서도 희망적으로 그려낸 동화가 
약간은 어렵고 무거운 이야기일지라도 

어른도 어린이도 함께 읽고

그때의 아이들에 대해 조금이라도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동화를 참으로 오랜만에 읽어보았다. 
뭉클함과 따뜻함을 함께 전해준 이 책 

열두 살 어린 샤샤의 관점으로 
우리 선조들이 겪었던 아픔을 담담히 
그리고 우리 민족의 비극을 기록하듯 
사실적으로 생생하게 다루고 있는 이 동화책이 
특별하고도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어른도 어린이도 함께 읽어보면 좋을 이 책
우리의 삶이 힘들고 고단하지만 
이 동화를 통해 
희망의 503호 열차가 다가오고 있음을, 
특별한 희망으로 다가올 이 책을 권한다. 

곧 다가올 2017년은 
고려인 강제 이주 80주년이 되는 해라
더 생각하고 읽을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