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표류
이나이즈미 렌 지음, 이수미 옮김 / 샘터사 / 2016년 7월
평점 :
절판



이나이즈미 렌의 직업표류 





한국의 미래가 될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일본의 취업 빙하기 청년 생존 보고서

직업 표류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그리고 어떻게 타협했는가? 

앞표지의 뒷모습의 그림처럼 문구 또한 
어둡고 무겁다 


이 책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이른바 '취업빙하기'에 
기업 사회로 첫걸음을 내디딘 일하는 젊은이 8인에게 
'이직'이라는 주제로 취재한 내용을 담은 논픽션이다. 

정처 없이 떠도는 표류 
직업 표류라는 책 제목답게 
각 장의 소제목 또한 어디로 갈지 모르는 표류하는 불안의 모습들이 담겨 있는 것 같다.


제36회 오야 소이치 논픽션상을 최연소의 나이로 수상한 
이나이즈미 렌 


"왜 엘리트들은 회사를 그만뒀는가?"

엘리트는 아니지만 
매년 과대표를 하면서 전공에 자부심을 가졌고 
졸업 때는 과수석을 하면서 난 평생 내 전공을 살릴 줄 알았다. 

 짧지만 5년의 직장생활을 하면서 
그 짧은 기간에 이직도 3번이나 했으며
 이직을 결심을 할 때마다 담겼던 내 불안감과 초조한 마음들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것 같아서 읽는 내내 마음이 불편하기도 했다.





현재 직장에 불만을 품었다가 
다음 직장에서 그 불만을 객관적으로 보게 되는 '이직'이라는 선택적 행위 

만약 업종을 바꿔도 취직이 안 되면 어쩌지?라는 불안감에 앞서고 
취직도 못하면서 업종에서 망설이는 상황도 두렵고 

'하고 싶은 일'은 있지만 원하는 곳에 취직할 수 없는 상황 
하고 싶은 일에 대한 미련이 사라지지 않고 
또 다른 직종으로 깨끗이 갈아탈 마음도 생기지 않을 때 

꿈을 포기했는데도 취직이 되지 않는다면 
자존감도 문제지만, 정말 정처 없이 떠도는 표류 인생이 될 것 같다.





책 속의 등장하는 8명의 이야기들을 읽다 보면 
어렵게 잡아낸 취업의 길 뿐만 아니라 
취업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도 걱정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침체에 빠져든 한국의 경제가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닮아간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한국의 미래가 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회사도 크고 개인도 컸지만 

불안하기 때문에 끝없이 달릴 수밖에 없는 
오늘날의 젊은이들은 취업과 함께 소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후기의 글처럼 
취업 빙하기에
좋은 대학에서 좋은 취직을 쟁취한 사람들이 
사회에서 무엇을 보고 무엇을 느꼈는지 

그들의 눈에 보인 회사의 모습이나 
가슴에 담긴 생각들을 읽는다면 
앞으로 다가올 취업 빙하기에 대비한다는 의미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쉽고 편하게 술술 읽히는 책은 아닌듯하다. 
하지만 취업을 준비하는 20대에게 
취업 그 자체만이 아닌 현실과 진실들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직장인에겐 공감과 현실적인 조언의 책으로 읽을만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