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고 개념 잡는 초등 독서감상문 쓰기 아이세움 School
이재승.최승한 글, 이동희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미리 보고 개념 잡는 초등 독서감상문 쓰기









수연이는 일주일에 3권의 독서록을 씁니다.  

독서록을 간단하게 기록하는 수준이라 많은 부담을 갖지는 않습니다.


그래서그런지 늘 궁금한 점이 있었답니다.

저학년때보다 독서록을 너무 짧게 써서 제출하는데도

늘 통과를 받는다는게 좀 궁금했었지요. ^^;...


이제 고학년인데....

제대로 된 독서록이라면 좀 길어야 하지 않나? 그런 생각이 있었거든요.


초등 독서감상문 쓰기는 어떻게 해야 좋은지 궁금하기도 했고요 ~ ^-^








미래엔아이세움에서 미취학 아동 및 초등 저학년을 위한

<미리 보고 개념 잡는 국어> 시리즈 확장책 2종을 출간했다고 하여

궁금하던 차에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 


 








차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모님없이도 아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무척 마음에 드는군요.


놀이 중심, 활동 중심으로 엮었기 때문에

아이들이 공부라는 생각은 전혀 할 수 없을 정도로 흥미롭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독서감상문을 잘 쓰려면 독서감상문이 무엇인지 알아봐야겠지요?


준비 단원에서는 감상문이 무엇인지, 감상문에 꼭 들어가야 할 내용을 알아보며, 

짜임 및 쓸 때 주의할 점 등을 재미있게 학습하며 배워봅니다.


 








감상문은 줄거리만 쓰면 되는것이 아니라,

책을 읽고 난 뒤 느낀 점이나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 글로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 내가 책에서 느낀 감동을 줄 수 있습니다.


 









감상문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봤다면,

쓰기 단원에서는 여러 가지 형식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편지 형식으로 작성할 경우에는 책에서 가장 인상 깊은 장면과

편지를 쓰는 이유가 서로 어울리게 글을 쓰면 좋습니다.



 







동시 형식으로 작성하는 방법은 생각도 못해봤는데요 ~

수여니에게도 권해보고 싶더라구요.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짧은 문장으로 리듬감있게 표현하기 때문에

반복되는 말이나 흉내 내는 말을 많이 써서 감상하는 사람들이 공감하고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작성합니다.









일기 형식은 수여니도 가끔 쓰기도 하는데요 ~

그동안 수여니가 작성한 방법이 어떠했는지 점검해 볼 수 있어서 좋네요.


일기 형식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책을 읽고 느낀 점을 적는 것으로

오늘 읽은 책을 통해 자신의 생활을 반성하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저학년 경우에는 그림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지요? ^^


가장 인상 깊은 장면을 떠올려서

그 장면의 분위기를 인물의 표정이나 색깔, 배경 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만화 형식의 감상문은  

각 컷에 들어갈 내용을 구성하는 게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고 하네요.


각 컷을 읽고 만화의 내용이 이해가 되면 좋은 만화라니

만화 동아리 활동을 하는 수여니에게도 한 번 권해보고 싶네요 ^.^









마인드맵 형식으로는 한번도 안해본 수연양 ^^

마인드맵으로 쓸 때에는 마인드맵 안에 책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이 꼭 들어갈 수 있도록 작성하는게 좋으며,

마인드맵을 만든 뒤 주제에 대한 생각을 따로 정리해서 써도 좋다고 하는군요.


고학년인 수여니에게 적합한 형식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생각해 보았답니다.

이 형식으로 작성해 보라고 꼭 권해보려구요 ~ ^^


 







인터뷰 형식은 수여니가 가끔 쓰는데요.

읽을 때마다 무척 재미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인터뷰를 할 때에는 구체적인 사실에 대한 질문, 생각이나 느낌에 대한 질문,

앞으로의 계획이나 당부에 대한 질문 순서로 물어보면 훨씬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상장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재미있는 아이디어 인거 같아요.

신기한 그림 족자를 읽고 친절상을 주는 본문의 내용이

수여니가 앞으로 독서감상문 쓰기를 할때 많은 도움이 될거 같네요.









이렇게 여러 형식의 독서감상문쓰기 에 대하여 알아보았다면,

책의 종류에 따라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알아봅니다.


창작동화, 옛이야기, 인물이야기, 사회문화, 과학, 예술 책

여러 장르의 책마다 강조하는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책의 장르에 맞게 자연스럽게 감상문을 쓰는 연습도 필요합니다.


 








창작동화는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등장인물에게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다준 사건을 중심으로 작성하면 좋습니다.









옛이야기는 시간 순서에 따른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하여 작성합니다.

또한 옛이야기는 어린이에게 귀감이 되는 교훈을 많이 담고 있기 때문에

그런 가치를 활용하여 작성하는 팁도 알려주는군요.






인물이야기 책은 그 인물의 훌륭한 점을 찾아

인물의 본받고 싶은 점을 분명하게 정하여

자신의 생활과 비교하여 작성하면 좋은 감상문이 된답니다.









 사회문화 책을 읽고 작성할 때에는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으로

나누어 쓰면 다른 사람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글의 구조를 정리하고 쓰면 도움이 된답니다.









과학 책을 읽고 쓸 때에는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나 과학적 원리를 쓰거나

무엇을 알게 되었고, 앞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등

과학책을 통해 얻게 된 점을 구체적으로 작성하면 좋은 감상문을 쓸 수 있습니다.


 








예술 책 감상문을 쓸 때에는 작가의 생각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실적인 내용보다는 감상하는 방법을 아는 것도 중요하며,

작품의 이름이나 특징 을 파악해서 작성하고 느낀 점을 기록하면 좋습니다.


 








이제부터라도

수여니에게도 감상문을 어떻게 해야 잘 쓸 수 있는지

<미리 보고 개념 잡는 초등 독서감상문 쓰기> 를 통해 재미있게 ~

차근차근 연습하여 자신만의 감상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알려주고 응원해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