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만약 집을 짓는다면 - 후암동 골목 그 집 이야기
권희라.김종대 지음 / 리더스북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살아가면서 누구나 한번쯤을 생각을 한다. 나는 왜 이렇게도 힘들게...바쁘게 살아가는 걸까?

과연 우리는 왜 그렇게 즐거운 시간과 여가의 시간도 없이 살아가는 걸까? 아마도 따뜻한 보금자리

를 얻기 위해서 일것 이다. 잘못된 부동산 정책으로 아파트 분양가는 고공행진을 하고 있고

너나 할 것없이 빚을 내서 집을 장만하고 있다. 이런 위태로운 생활이 언제까지 이어질까?


본인은 아파트를 싫어 한다. 아파트 사는 사람들에게는 안좋게 들리고, 어떤 사람은 무식하다고

할수있도 있다. 나느 아파트가 닭장 같아서 싫다. 똑같은 크기에 똑같이 생긴 집. 구조도 똑같고

아마 가구 배치도 똑같을수도 있겠지...


우리들의 로망속의 집은 2층에 넓은 마당이 있는 집을 찾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집을 가지려면

일단 변두리에 주변에 논과 밭만 있어야 한다. 대도시에 그런 집을 갖겠다는 것은 어마어마한

부자가 아니면 불가능하겠지?


나는 이책을 보면서 바로이거야!!! 라는 영감은 받지 못했다. 왜냐? 내 얘기가 아니니깐?

그렇다고 내가 작가들처럼 시간이 있어 주변을 탐방하고 알아보고 할 시간도 없으니깐?

막상 하려도 해도 많은 제약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가슴에 확 와닿거나 , 이책에서 정답을

찾지는 못했다. 보금자리란 개념을 일깨워준 책이라고 말하고 싶다. 


주식/부동산 책을 보면 부자가 되지 못하듯이 , 이책을 보고 할수 있다라는 자신감을 찾지

못하였지만 ,그래도 직접 집을 구하고 세우고 등기를 치는 과정까지 어쩌면 살면서 유용한

정보가 될지도 모르는 것들을 책으로나마 자세하게 배울수가 있었다.


주변을 둘어보면 짜투리 땅들은 참 쉽게 찾아 볼수 있다. 평수는 작아 아무것도 짖지 못하는 땅

어쩌면 작가들은 그런땅만 골라 잡았을지도 모른다.더이상 발전 가능성은 없을것 같지만 주변에

없는것 없이 모두다 갖춰져 있는.... 하지만 노후되어 사람들이 찾지 않는 구역.

작가들은 그런 구역을 잡아 구옥을 허물고 자신들만의 집을 지었다 .어쩌면 우리는 이미

갖춰져 있는 것만 잡을려고 할수도 있다. 집을 사기도 전에 주변 학군을 보고 병원의

위치를 먼저 따진다. 집 구조는 보지도 않고 주변에 병원이 없다..학군이 별로다..라는

이유로 쳐다 보지 않는 세상이 됐다. 따뜻한 보금자리가 무엇일까?


이책은 어쩌면 그런  고정관념을 깨부수고 진정한 따뜻한 보금자리가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것 같았다. TV를 보면 연예인들의 집을 자주 보게 되는데 , 꼭 그런집을

보는 사람들의 첫마디는 돈이 많은니깐 저런집에서 살겠지...라고 한다.


그런데 연예인들집을 보면 주변에 아무것도 없다. 학군과 주변 상권을 따지지 않는

다는 것이다. 미래에 나의 집값이 오르냐 안오르냐가 좋은 보금자리의 판단기준으로

삼지 않는 다면 , 모두 연예인들과 같은 집에 살수 있지 않을까?


물질 만능 시대에 정말 참된 보금자리의 기준이 무엇인지를 잘 보여준 책이다.

마음이 따뜻한 집을 지어서 살고 싶은 사람. 집값에 연연하지 않고 정말 나의

인생과 함께 할수 있는 집을 짓고 싶은 사람은 이책을 꼭 보도록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