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체 읽는 남자
안토니오 가리도 지음, 송병선 옮김 / 레드스톤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받고 나서 조금 의아했다. 유럽의 작가가 어떻게 중국 역사 소설을 배경으로 집필을 하였을까?

우리 나라 작가도 다른 나라를 배경으로 더군다나 역사적인 내용을 집필하기가 매우 어려웠을텐데...


많은 학습과 상상력이 동반되지 않으면 결코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의 주인공은 송자.

시체 판독관의 내용이다. 그럼 송자라는 인물은 누구 인가?  송자라는 인물을 아무리 찾아보아도

나오지 않는다. 다만 그가 집필한 세원집록만 검색될뿐.. 그가 그때 당시 시대적 배경에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인물이지 찾아 볼수가 없었다. 다만 후세에 많은 도움을 준 책을 집필했다는 사실만 있다.


이책은 송자의 일생을 그린 소설은 아니며 , 어떤 하나의 사건의 처음과 끝을 소설로 표현한 책이다. 하나의 사건임에도 책의 두께는 매우 두꺼웠고 , 내용도 방대하였으며 , 내용도 두께에 비해 난잡하지 않았다.


송자는 관리의 밑에서 일했던 아들로 어려서 부터 명석하고 노력파 인간임을 소설에서 보여준다.

법의학에 있어 매우 뛰어나 , 죽은 시체는 분석하고 사망원인을 찾아내는데 탁월했다.


그의 스승인 펭판관은 그를 가장 아끼는 조수로 임명하고 , 그를 아들과 같이 대했다 . 그런 환경속에 그는 의학/법학등을 공부할 수 있었으며 , 장차 판관이 될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할아버지의 별세로 다시 시골로 내려올수 밖에 없었으며 , 그는 꿈을 접어야만 했다. 몇년이 지나 아버지는 다시 공무를 맡길 원했으나 , 그는 돌아갈수 없는 처지에 놓이기 되고 , 억수 같이 쏟아지는 비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하여 송자를 제외한 나머지 가족들은 모두 사망을 하게 된다.


가족이 사고를 당하기 전 송자는 비가 쏟아지는 와중에도 논일을 계속하게 되고 , 그러던 중 하나의 시신을 발견하게 된다. 목과 몸이 분리되어 있는 시체는 당시 마을을 방문한 펭판관에 의해 범인이 찾아내게 되고 , 그 인물은 송자의 형 "루" 였다.


공부에 대한 열망이 컸던 송자는 린안으로 도망을 오게 되고 , 그곳에서 밍교수 눈에 띄게 된다.

밍교수는 그에게 학원에서 일을하며 기숙사비를 충당할 것을 지시하고 그에게 공부를 가르친다.

그러던 와중 연쇄 살인 사건을 조사하는 기회를 받게 되고 ,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뜻밖의 결론을

찾아내게 되고 , 송자는 커다란 충격을 받게 된다. 연쇄 살인 사건의 범인은 송자가 생각하지 못한 반전의 인물이었고 , 결국 부패하고 썩어빠진 정신때문에 이 모든일이 벌어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과연 반전의 인물은 누구이고 , 어떻게 그를 찾아 냈을까?? 송자는 범인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많은 역경과 고난을 겪게 되고 , 사랑하는 가족 모두를 잃게 된다. 평범한 인간이었다면

모든 삶을 포기하고 홀가분한 마음을 가지고 싶었겠지만, 그는 끝까지 자신의 일에 매진했고

결국 부패/부정에 넘어가지 않고 자신의 본분에 충실했다.


이책을 넘기면서 어쩌면 현재 우리 나라의 사정과 동일하지 않을까 싶었다. 청렴하고 깨끗한

자신의 역할에 충실한 사람만 있었어도 이지경이되지 않았을것 같은데...라는 생각??

재미 있으면서 씁쓸한 생각이 드는 건 이 책이 주는 또 다른 교훈이 아닐까 싶다. 


역사적 소설을 바탕으로 한 인물을 그린 소설이긴 하지만 그안에 우리가 분명 배워야 할 것은

있다. 책이란 각자의 주관적인 생각과 해석을 하겠지만 그래도 이책으로 많은 교훈을

얻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