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 그 태양과 모래
김성종 지음 / 새움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본인은 미스터리 소설을 굉장히 선호하고 즐겨보는 편이다. 일전에 샌드맨이라는 외국 소설을

접한 터라 , 국내 소설을 눈빠지게 기다렸고 마침 미스터리 소설 한편이 출간하게 되어 뒤도 돌아

보지 않고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책의 주제가 해운대이니 만큼 이 소설의 배경은 부산 해운대 이다. 책의 내용은 단편 소설처럼

엮어 있지만 사실 모든 소설이 조금씩 연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단편 소설로 끝나는 것 같지만

모든 내용이 해운대에서 이루어지기에 전편에 주인공이 후편에 가서 까메오 식으로 출연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지금까지 접한 소설보다 신선하게 다가 왔다.


첫장을 펴게 되면 우리는 자연 재난 영화였던 해운대가 생각이 날 것이다. 해운대 바닷가에

몇십층이 되는 건물들이 즐비하게 되고 어느날 지진에 의해 건물들이 피사의 사탑 처럼

옆으로 기울게 된다. 이 책의 처음 내용이 이렇게 시작하기에 사실 모든 이들이 재난 소설

인가?? 라는 의문이 들것이다. 그렇지만 처음 내용만 현실과 동떨어지게 흘러가고 뒷 이야기들은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있을 수 있는 일. 또는 벌써 벌어진 일들이 소재가 되기 때문에 어쩌면

더욱더 현실감 있게 다가 온다고 할 수 있다.


짧은 단편 형식의 소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 스토리 면에사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많은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한권의 책에 여러

소설을 읽은 듯은 느낌이라고 할까?? 미스터리 소설이긴 하지만 미스터리물에는 멀게 느

껴지는 것이 단점이긴 하다.


많은 주인공들이 나오고 많은 소재를 가지고 엮여 있는 책이기에 바쁜 와중에도

읽어 내려가는데 부담이 없고 , 모든 내용이 엮어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도중 도중

쉬어가면서 읽어도 책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다.


많은 단편 소설처럼 엮어진 책이자만 이 소설이 주는 의미는 하나다. 우리 사회의

어두운 뒷면. 즉 아직도 사회에는 감춰진 추악한 모습들이 많다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는 것 같다.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차마 말을 할 수 없는 것들.

이러한 내용들이 이 소설에는 잘 표현되어 있다. 어쩌면 작가는 잘못된 부분을

세상에 내보이고 , 앞뒤 깨끗함을 채우자는 의미에서 이 책을 쓰지 않았을까?

작가분의 깊은 생각을 쫒아 갈순 없지만, 스스로 이 책을 볼때 위와 같은 생각이

문득 문득 들었다.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는 순간 나도 이 책의 주인공 처럼

살고 있지는 않은가?? 라는 물음을 스스로 던져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