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
이재운 지음 / 책이있는마을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근래에 정도전에 관한 티비 드라마가 많이 방영되고 있다. 정도전.. 과연 역사적으로 얼마나 뛰어난

인물이었기에 , 이토록 근래에 들어 화제가 되고 있는 것일가? 어렴풋이 국사 시간에 정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적은 있지만, 사실 정도전이라는 역사적 인물에 대해 궁굼증이 이 책을 찾게 하였다.

 

이 책을 읽지 전에 정도전이란 역사적 인물에 대해 알고 가야 겠다. 정도전이란 누구인가 ? 고려시대

에서 조선시대로 넘어가는 당시 실질적인 조선의 설계를 담당하고 , 왕 이상으로 최고의 권력을 누린

인물이다.  이성계와 함께 조선을 세운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민본의 국가를 이념으로 하여 탄생한

조선은 선비들이 나라를 이끌어가는.. 즉, 지금의 대한민국 정치판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자 하였다.

 

하지만 조선의 뛰어난 사상을 꽃피워 보기전에 정도전은 반대파 세력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게 되고,

조선을 세운 뛰어난 업적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세력에 의해 역적으로 몰리게 되나 , 조선의 끝자락에

가서야 다시 신원을 되찾게 된다.

 

1.조선의 탄생

조선의 탄생의 신의 한수는 정몽주의 죽음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고려를 지키고자 했던 온건파인

정몽주가 조영규에 의해 선죽교에서 피살을 당하면서 고려 왕조는 급격히 힘이 약해지고 ,

이성계의 신진 세력이 강한 힘을 가지게 되면서 조선이 탄생하게 된다. 고려와 무너지고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면서 정도전의 위상을 하늘을 찌르고 , 그 또한 엄청난 업적을 기록하게 된다.

현재 서울이라고 할 수 있는데 , 한양으로 수도를 옮기고 경복궁등을 건립하게 된다.

 

2.정도전과 이방원

정도전의 죽음에는 당연히 이방원이 있다. 이방원이 누구인가? 왕의 아들이다. 그런 이방원이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워 왕자의 자리에 앉힌 정도전을 왜 죽였을까? 이방원은 정몽주를 죽였다는

이유로 조선의 세자에 책봉되지 않는다. 사실 조선을 세우는데 가장큰 공헌을 함에도 당시의

고려 세력들의 눈치와 정치적 입장에 의해 이방원은 철저히 무시를 당하게 된다. 또한 그 사건의

중심에는 정도전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사병 개혁으로 더이상 양반들과 왕자들이 사병을

가질수 없도록 조치한 정도전은 그로 인해 많은 양반들과의 대립각을 세우게 되는 시발점이

된다. 또한 왕도 정치를 주장한 정도전과 강력한 왕권에 의한 정치를 주장한 이방원 사이에서

대립이 심화되고 결국 이방원의 난에 의해 정도전은 죽음을 당하고 , 이방원이 후대 왕의 자리에

앉게 된다.

 

3.사병 개혁과 이방원의 수모

정도전은 요동 정벌이라는 명목으로 사병 개혁을 실시하여 더이상 나라가 아니면 사병을

가질수 없도록 모든 사병을 나라에 귀속 시킨다. 하지만 내면에는 옛 고려 세력들의 반란을

막고자 함도 있었다. 사병 개혁을 시작하면서 요동 정벌을 되 찾고자 했던 정도전은 왕자들

까지 군사 훈련에 참가를 시킨다. 하지만 요동 정벌 보다 나라안의 안정이 먼저라고 생각한

이방원은 훈련을 참가하지 않게 되고 , 정도전은 이방원의 수하를 끌고와 곤장이라는

처벌을 받게 한다. 자신보다 한참 높은 왕자의 수하를 끌고와 처벌은 받게한 정도전은

이 사건을 계기로 이방원과 등을 돌리게 된다.

 

4.이방원의 난

이방원의 난의 중심에는 명나라가 있었다 . 요동정벌이라는 명목으로 강한 군사 훈련을

시킨 조선이 마음에 들지 않은 명나라는 이방원은 세자로 받아들이고 그를 꼬시게 된다.

조선의 나라 운영이 마음에 들지 않은 이방원은 결국 명나라의 군사와 자신이 가지고

있던 군사 , 정도전와 등을 돌린 양반 세력들의 군사를 이끌고 결국 정도전을 참수하고

왕의 자리에 앉게 된다. 정도전은 역적으로 몰리게 되고 그의 세력에 있던 모든 인물들은

유배 또는 참형에 처하게 된다. 정도전의 자식들 또한 죽게 되고 유배를 떠나게 된다.

 

5.이방원의 생각... 결국은 정도전

이방원의 생각.. 이건 사실 밝혀진것은 없다. 다만 이방원이 조선을 이끈 정치적 색깔은

역시 정도전의 기본에서 나왔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조선 내부의 결속력을 다졌다느

것뿐. 정도전의 조선 탄생 이념을 바탕으로 조선의 내부 결속력을 다진 이방원은

결국 난의 주인공에서 사실 조선을 강하게 키운 중요한 인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다만 , 정도전의 주인공으로 하는 많은 책과 드라마에서 이방원의 개혁, 이방원의 난은

결국 나쁜 이미지를 비추기에 틀림이 없다. 역사적 해석이야 그 역사를 해석하는 역사가

에 의해 선과 악이 나뉘겠지만, 결국 나라 운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발전을

하였다면 , 결국 위인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티비에 정도전에 관한 드라마가 방영하고 있지만, 이러한 역사 서적을 많이 읽어 보길

바란다. 허구가 섞여 모든것이 진실이 아닐수 있지만, 역사적인 지식과 힘을 가진다면

일본과 같은 만행이 두번다시 일어 나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