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중국에서 자본주의를 만났다
신동원 지음 / 참돌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이젠 중국은 어느 나라도 무시할 수 없는 강력한 국가가 되어 버렸다. 아시아 중심이 되었으며, 이젠 세계의 중심이 되어 가려고 한다.

그렇다면 , 중국은 어떻게 그 짧은 시간 內에 튼힘을 가질수 있었을까?? 아마 그건 세상에서 제일 강력한 무기인 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중국 꼭 우리의 후발 주자라고 생각해야하는가?

사실 모든 이들이 그러할것이 중국은 우리나라에 비해 몇년 몇십년은 뒤떨어진 나라라고 생각을 한다. GDP 나 경제 발전에서 

사실 우리나라가 더 앞서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 앞을 들여다보면 그렇지만은 안다. 모든것이 숫자가 말해주는 것이 아니

라는 것을 나는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GDP 나 경제 국가 순위에서 우리나라가 한참 앞서 있지만,  사실 우리 나라는 언제나

중국의 그림자에 가려져 있다. 아시아에서 중국의 경제가 시들거리면 우리나라는 큰위기에 빠지고 , 나라 경제 전체가 힘들어진다.

반대로 중국의 경제가 활활 타오르면 우리나라 경제 역시 활활 타오른다. 이렇게 생각하면 중국이 우리나라의 후발주자일까??

그렇지 않다. 어쩌면 우리나라가 후발 주자 였을지도 모른다. 더이상 중국은 우리나라보다 못산다는 생각을 버리고 앞서가야 한다고

생각을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나라와 중국의 격차는 쳐다 볼수 없을 만큼 멀어져 버릴지도 모른다.


중국의 경제. 배울점은 무엇일까?

중국은 외자 유치에 있어 상당히 편하고 이로운점이 많다. 경제 발전을 위하여 외자유치에 있어 많은 해택을 주었고 , 많은 외자 유치로

시민들은 배가 부른수 있다. 반대로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외자 유치는 커녕 내자로 경제를 발전하려고 해도 많은 제약과 세금 폭탄을

맞는다. 그렇기에 우리 나라 대기업들이 더욱더 중국쪽으로 진출하여 우리 나라 사람들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지도 모른다. 

중국은 철저히 자국 국민에 해가 되는 것은 하지않는다. 어쩌면 갖가지 법규와 제도를 가지고 목을 조르고 세금 폭탄을 물론이거니와

회사를 하루 아침에 없애버리기 까지한다. 모든지 자국에 이익이 되냐 되지 않느냐로 결정을 내린다. 구글 애플등 미국 탑 클래스 

기업들이 중국에서만 고개숙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볼수 있다. 세계 여러 나라가 손가락질을 할지 모르지만 , 우리 나라 역시 

이러한 중국의 마인드는 배울 필요가 있다. 국가 이미지를 떠나 자국에 이익되지 않는 다면 과감히 버려야 한다. 그렇게 성장한 

나라 중국을 지금 손가락질 하는 나라는 없다. 그 만큼 국가 권력이 성장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점을 깊이 배워야 할 것이다.


이 책을 추천 한다면?

경제 공부를 하는 사람들에게 중국 경제를 꼭 배워야할 과목이다. 중국 경제를 빼고 아시아 경제를 논할수 없으며 , 세계 경제를 논할수 없다. 세계의 경제 동향 또는 우리 나라의 경제 전망등에 대해 깊이 공부를 하고 싶다면, 이 책을 첫번째 Step 으로 삼아 보길 바란다.

분명 중국은 우리 보다 앞선 나라이며 ,  배울점이 많은 나라이다. 중국의 자본주의에 대해 이해 하고 벤치 마킹하여 우리나라에 접못할 수

있는 방법을 이책에서 찾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