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림, 조선의 586 - 그들은 나라를 어떻게 바꿨나?
유성운 지음 / 이다미디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정치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냥 나만 정신 똑바로 차리고 잘 살면됐지..라는

안이한 생각을 하면서 살았던것 같다. 하지만 나이가 들고 뉴스에 나오는 정치인들을

보면 내가 관심을 안가지는게 옳은 일이 아니었겠구나.. 라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나 개인으로 보면 아주 미미한 목소리지만 같은 뜻을 하는 사람들과의 소통과

하나의 목소리를 보탬으로 인해서 변화가 일어난다면 더 이상 무관심으로 정치인들의

행보를 바라보기만 해서는 안될것 같다. 정말 조선이 망하는 그것과 같이

대한민국이 같은 절차를 밟게 된다는 건 있어서는 안될 일이지 않은가.

맨처음 책을 펼쳤을때는 성리학이니 사림이라느니.. 평소에 생각해보지도 않았던

단어들에 책을 읽는데 어려움부터 느꼈던 것 같다. 학교다닐때 들어본 단어였으나

깊이 있게 생각해 보지 않아 정확한 개념을 알지 못했던 탓에 더 어렵게 받아들이지

않았나 싶다. 조선의 사림들과 지금 586세대와 같은 행보를 보인다는게 무슨 뜻일지

지금 정치인들의 어떠한 면들에서 조선시대 사림들의 이기적인 행보를 보았을지

너무나 궁금하다.

한동안 매체에서 내로남불이라는 단어를 심심찮게 볼수 있었다.

외국에서도 우리의 발음과 같이 이 고유단어를 사용한 기사를 그대로 옮겨적고 있다고

하는데 솔찍히 너무나 부끄러운 단어가 아닌가. 외국에서도 이런 사람들이 많겠지만

좋은 뜻도 아닌 우리의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니 조금 부끄럽기도 하고 불쾌하기도 하다.

현대판 유향소라 불리는 주민자치회를 만드는데 우리의 혈세가 그렇게 들어갈거라고는

생각해본 적이 없는데... 그걸 만드는데 그렇게 많은 우리의 혈세가 들어갈거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다. 도대체 그들은 왜 그렇게 탁상공론만 하고 있는 것일까?

그러라고 국민들이 그 자리에 앉혀준건 아닐텐데... 깊히 생각할수록 그들의 행보가

못마땅하다.

당동벌이란 생소한 단어의 뜻이 궁금했는데 옳고 그름을 떠나서 자신과 다른 무리에 있는

사람은 무조건 배격하는걸 뜻하는 말이라고 한다. 정말 유치한 발상인데,

그게 조선시대에는 통했다고 한다. 잘못한 것이 없어도 그 사람은 사악하고 사상이

바르지 못하다고 하면 그 상대방에게 바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하니 황당하기만하다.

어쨌든 책에서 보면 조선후기와 지금이 비슷한 점이 몇가지 보이긴 한다.

그럼 같은 절차를 밟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고민을 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