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것도 습관입니다 -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드는 8가지 기술
아리카와 마유미 지음, 송소정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사람들은 항상 바빠죽겠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것 같다.

나는 그렇지 않은데, 바쁜 사람들은 왜 그렇게 얘기하고 다닐까??

내가 너무 시간을 허투루 보내나? 하는 생각을 한때 했었다.

일을 하면서 그렇게 바쁘게 일을 처리한적이 별로 없다.

바쁘게 일을 처리하다보면 실수가 생기고 수습할수 있는 실수면 괜찮은데

수습이 안되는 큰 실수는 나에게 치명상을 입히기에 항상 여유롭게 일을

대하곤 한다. 그렇다고 시간을 잘 쪼개서 잘 사용했다고 자신하지는 못하겠다.

좋은 습관을 가지면 좋지만, 바쁜것까지 습관으로 가지고 싶지 않다.

예전에는 철학이라고 하면 색안경을 끼고 대했었다. 하지만, 최근에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부터는 철학이 나쁜게 아니라 나만의 좋은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면 나에게 더 도움이 된다는걸 알았다.

시간은 없는게 아니라 우선순위를 내가 스스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중요하지 않은 일에 시간을 빼앗겨 없다고 느낄수도 있다는 말에

공감한다.

나는 시간을 분배함에 가족이 제1순위이다.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에

진정한 행복을 느끼고 있다. 그 외의 일에는 크게 관심이 없는듯하다.

시간이 없다는 핑계는 이제 대지 말아야겠다. 이때까지는 핑계라고 생각하지

못했는데, 책을 읽고보니 정말 좋지않은 핑계꺼리였다는 걸 새삼 알게됐다.

내가 마음의 여유가 그렇게 없었나?? 나도 모르는 무의식에서 그랬나보다.

오늘 할 일은 미루지 말자... 자주 듣는 얘기였지만,

내일 할 일은 내일 하자는 말은 처음 듣는다. 신선하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어차피 오늘 못할일에 매여 전전긍긍대는것보다는

마음편하게 오늘 할 일이 아닌 내일해도 되는 일은 내일로 맘편히

미루는건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그렇다고 계속 내일로 미루면서 게으름을 피우는건 옳지 않은 방법이다.

요즘 직장에서 너무나 답답한 일들이 많다. 오랫동안 일했던 곳이다 보니

이런 문제들을 바로 윗상사와 공유하면서 나의 고민은 더 깊어졌다.

처음에는 너무나 힘들어서 퇴근후 집에가서도 생각하고, 마시지 않던

술까지 마시게되었다. 지금은 답답한 일이 있어도 집에까지 그 고민을

가져 오지 않는다. 책을 읽다보니 아주 현명하게 내가 잘 대처를 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회사일로 집에까지 내 시간을 빼앗기고 싶지 않다.

이런 저런 지금의 내 상황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하는 시간이었던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