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볼로냐 라가치상 픽션 부문 대상 수상작 밝은미래 그림책 52
린롄언 지음, 이선경 그림 / 밝은미래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집 》

* 집 : 사람이나 동물이 추위, 더위, 비바람 따위를 막고 그 속에 들어 살기 위하여 지은 건물.

가정을 이루고 생활하는 집안.

그렇다 집이란 우리가 피곤한 몸을 마음 편히 쉴 수 있는 곳이 바로 집이라는 곳이다.

그러다 보니 집이 우리가 살아가는데 얼마나 소중한 곳이지 누구나 다 알 것이다. 코로나로 인해 팬데믹이라는 말이 떠오르게 되었고 그것으로 인해 집이라는 공간이 제일 안전한 곳이며 제일 중요한 곳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처음 이 책을 받았을 때 책표지가 참 독특했다. 표지는 두꺼운 판지로 되어있고 책의 모서리는 둥글게 되어있으며 표지 그림은 여러 가지 종이를 오려서 만든 집들을 붙여서 표현했고 배경은 종이를 찢어서 표현한 것이 참 이색적이었다.

표지를 하나로 펼쳐보면 마을을 연결해 주는 도로가 나오고 오밀조밀하게 모여서 지어진 집들과 건물들.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를 재미있게 표현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우리가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집을 잘 표현한 것 같다.

그러다보니 집이라는 공간처럼 언제나 방문하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표현했다는 점이 참 좋았다.

이 책에는 독특한 콜라주를 사용하여 읽는 독자들에게 가정의 중심성과 연결성, 다른 공간에서의 소속감을 생각하게 했다는 점이 이 책을 쓰고 그린 작가의 생각을 고스란히 담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작가는 자신이 살아온 삶의 경험과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이 풍경을 그림책 속에 표현함으로서 따뜻하고 감동적인 세상을 표현했고 또 이 책의 내용에서처럼 우리가 집을 떠나 일을하고 피곤한 몸을 이끌고 집이라는 곳으로 돌아왔을 때 느낄 수 있는 안락함과 따뜻함, 그리고 포근함과 안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집이라는 공간을 따뜻한 곳으로 읽는 독자들을 편안하게 해주었다.

우리는 하루의 일과를 집에서부터 시작한다.

학교, 직장을 갈 떄도 다시 돌아올 집을 생각하며 힘을 내며 발걸음을 내딛는다. 그만큼 우리는 마음의 안식처이며 안락한 곳, 다시 돌아오면 나를 반겨줄 집이 있기 떄문에 작은 위로를 받으며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어릴 때를 생각해보면 아무리 좋은 곳을 간다고해도 집만큼 편하고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곳은 없었던 것 같다.

타인의 집이 편하다고해도 어릴 때 혹여나 피해를 주지않을까 생각한 적이 있지만 내가 사는 집에서는 아무리 엉망으로 만들어 놓아도 불편함이 없기 때문에 우리집이 최고라는 것을 느꼈다.

그만큼 우리에게는 집이라는 곳이 그립고, 행복한 공간이라는 것을 알게된다.

펜데믹이 2년 이상 길어지면서 집의 중요성은 더 부각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쉼을 생각하는 집을 떠나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등 우리가 의무적으로 해야하는 일들도 가장 안전한 집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나의 안식처인 집을 둘러산 울타리가 있었다. 울타리가 별거 아닌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덩그러니 있는 집을 울타리가 둘러쌓고 있다는 것 만으로도 안정감과 안전을 보호받는 기분이 들었으니까...

요즘 새삼느끼고 있는 울타리의 의미... 그만큼 집이라는 곳이 특별할 수 밖에 없는 곳이다.

이 책에는 글밥이 많지 않다. 그 이유는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크림으로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일단 이 그림책 속에는 나의 집은 물론 내가 살고 있는 동네도 집이라는 범주안에 넣었다.

내가 살고 있는 동네를 떠나면 낯설고 당황스러울 때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내가 살고 있는 동네로 다시 돌아오면 어닌가 모르게 포근한 느낌을 준다. 엄마의 품속처럼...

나 역시도 여행을 가게되면 여행지가 좋기도 하지만 가만히 잘 있는 우리집에 대한 걱정을 하게된다.

누가 집을 들고 가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그러다가 여행을 끝내고 다시 돌아오는 길목에 가까이만 와도 편안하게 숨을 쉴 수 있는 것을 보면 참 신기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아무리 먼 곳으로 떠나도 돌아오는 곳은 처음 출발했던 우리 집...

이 책속의 내용은 파란 트럭을 타고 출근하는 아버지와 학교에 등교하는 딸. 그 뒤를 쫓아가는 빨간 새 한 마리.

집에서 출발을 해서 길을 따라 보여지는 마을의 풍경들. 그 풍경들 사이로 이어지는 도시와 동네를 이어주는 길.

어느덧 아이는 학교에 다다르고 손을 흔들며 다시 만나 함꼐 집으로 가자는 약속을 한다.

아버지의 파란 트럭은 덩컹거리며 다시 목적지를 향해 달리기 시작한다.

그 뒤를 빨간 새가 따라가며 새의 관점에서 보이는 풍경들을 이야기한다.

한참을 일한 아버지는 다시 왔던 길을 되돌아가며 집으로 간다는 행복과 즐거움이 가득할 것이고 열심히 달려 딸의 학교에 도착하고 딸을 기분좋게 반긴다. 역시 빨간 새 한 마리가 함께 하고 있다.

아버지와 딸을 태운 파란 트럭은 열심히 달려 처음 출발한 곳으로 향한다.

엇! 빨간 새 한마리가 나뭇가지에 앉아있는데 알을 품을 둥지가 없다.

아버지와 딸은 빨간 새가 편안하게 쉬면서 알을 품을 수 있게 나뭇가지에 둥지를 올려준다.

그러고는 행복하고 편안하고 따뜻한 집으로 돌아온다.

빨간 새 한마리가 왜 파란트럭을 따라왔는지 어느 정도 짐작을 했는데 그 짐작이 맞았다..^^

사람이든 동물이든 피곤한 몸을 누이기 위해 가장 편안하고 안락한 곳은 바로 집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

항상 느끼지만 집이 최고이지만 우리는 그것을 느끼지 못하고 살아왔던 것 같다.

그런데 이번 펜데믹으로 인해 집의 소중함을 다시한번 일깨우는 시간이 되었다.

안락한 집이 있다는 것에 다시한번 감사하게 되었다.

집. 당연하다고만 생각했던 집에 대해 아이와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서 좋았다.

이 책은 허니에듀 서평단으로 출판사 밝은미래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읽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집#밝은미래#린렌언#볼로냐라가치상#픽션#펜데빅#판지#행복#소중함#추천도서#그림책#창작동화#허니에듀#허니에듀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