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달라도 괜찮아 - 자폐인 과학자가 말하는 완벽하게 나다워지는 법
카밀라 팡 지음, 장한라 옮김 / 동녘 / 2023년 9월
평점 :
1. 감상평과 느낀 점
이 책은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과학자가 장애의 특성과 과학에 연관 지어 설명하였다. 과학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장애를 설명한 접근 방식이 신선하게 다가왔다. 이 책은 장애에 관해서만 이야기하지 않는다. 과학에 대한 호기심이나 자신이 남들과 다르다는 것에 의문이 드는 사람이 읽어도 재미있을 것 같다.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롭게 읽은 부분이 ‘타협’이었다. 기존에 장애인을 바라볼 때 비장애인은 장애인의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타협’을 제시한다. 비장애인의 기준에 맞추는 것도 아니고 장애인이 비장애인 사회에서 큰 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자신이 편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단추를 싫어하는 장애인이 교복에 달린 단추로 인해 입기를 힘들어하는 경우 똑딱이 단추로 바꾸는 것을 이야기한다. 그 장애 학생은 단추로 인해 교복 입는 것을 싫어하는 요인을 제거하고 학교에서도 똑딱이 단추 교복이 교칙에는 크게 위배되지 않는다. 서로에게 피해 주지 않고 윈윈할 수 있다.
이해는 약간 타인에게 요구하는 느낌이라면 타협은 자신의 노력과 수용이 포함된 느낌이 강하다. 따라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에 ‘이해’라는 단어보다‘ 타협’이라는 말이 더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이 책의 말미에 혹시 ‘여기서 이야기한 차별들을 겪게 된다면 너에게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해 둬. 너는 다채롭고, 아름답고, 놀라운 자아를 지닌 걸 축하해야 해.’라는 말한다. 사람들과 내가 다르다는 사실에 위축이 되었는데 그 문장을 읽는 순간 다르다는 것도 축복받을 수 있는 것에 마음 위로가 되었다.
2. 마음에 남는 글귀
31쪽
고정 관념은 실제 모습이 아니라, 우리가 예상하는 모습대로 사람들을 대하게 만들어.
41쪽
차이가 나쁜 게 아니라는 사실은 금속과 반응성이 알려 주었지. 차이란 좋은 거야, 모두가 똑같다면 우리는 살아남을 수가 없거든 사람들은 서로 잘하는 일이 달라야 하고 반응도 달라야 해. 안 그러면 우리는 모두 다 같은 일을 못할 테니까.
164~165쪽
결국, 발전은 연습의 결과야. 발전하려면 예전에는 할 수 없었던 무언가를 해낼 때까지 시도하고 노력하고 작은 진전을 수없이 만들어 가야 해. 발전은 조그만 한 발을 내딛으면서 스스로를 더 나은 사람으로, 더 똑똑하고 강한 사람으로 만드는 일이야. 성장해 가면서 우리만의 고유한 길을 찾아내고, 그러다가 차질이 생기더라도 우리 발걸음으로 받아들이는 거지.
209쪽
혹시 여기서 이야기한 차별들을 겪게 된다면 너에게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해 둬. 너는 다채롭고, 아름답고, 놀라운 자아를 지닌 걸 축하해야 해. 한발 더 나아가가면 세상은 늘 똑같은 자리에 머무르지는 않을 거야.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