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글이 되는 순간
허지영 지음 / 더로드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이 글이 되는 순간

 

힘든 상황에서도 자신의 감정을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은 타인을 진심으로 사랑할 수 있는 사람이다.’ 프롤로그의 이 문장을 보고 한참을 생각했던 거 같다. 나는 내 감정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그리고 상대방에 대해서도 진심으로 그 사람의 마음을 알려고 노력하고 있는가?

 

지금 내 앞에 있는 사람을 단점이 보이는 대로만 받아들이면 그 사람은 더 좋아질 수 없다. 하지만 미래에 발전된 모습이 되어야 하는 존재로 여기고 대해주면 그 사람은 그리 된다.”

-<삶이 글이 되는 순간> 중에서-

 

나의 취미는 독서이다. 어릴 때부터 책 읽는 것은 좋아했다. 인간관계에서 상처를 받거나, 육아로 어려움이 있을 때에도 관련 책을 찾아보았고 책으로 위로를 받았다. 힘들 때 친구나 주변사람들에게 이야기하는 것보다 책이 늘 편했던 거 같다. 사람들과의 만남을 자주 갖지 않아도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 이유가 성격적인 이유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고 알게 되었다. 나는 이미 책에서 좋은 사람들을 만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는 삶이 지겹거나, 지쳐버린 사람들에게 읽고 쓰기를 권한다고 한다. 이들은 대부분 당장의 삶에 힘이 될까 의심하지만 읽을수록 나의 무지를 깨닫고, 얕은 생각에서 깊은 생각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글을 쓰면서 자신의 삶을 더 이해하고 설득력 있는 말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고 말한다.

 

글은 불안과 자기의심에서 멀어지게 만들며 내가 가야할 길을 자연스럽게 알려준다.”

-<삶이 글이 되는 순간> 중에서-

 

이 책의 저자가 글을 쓰다가 한 번씩 펼쳐보는 책이 버지니아 울프의 일기를 모은 책 <어느 작가의 일기>라는 책인데 울프는, 자살하기 나흘 전까지 27년 간 일기를 썼으며 어떤 상황에도, 어떤 곳에서도 글쓰기를 놓지 않았다고 했던 부분이 기억에 남았다.

 

또한 우리는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선택을 하며, 어제는 후회했지만 오늘은 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해 책을 읽고 공부를 하는 것이라는 저자의 이야기도 많은 공감이 되었다. 공부하지 않으면 선택에 있어 스스로의 판단이 어려워 다른 사람의 생각을 그대로 믿어버리기 때문이다.

 

책이 좋아 즐겨 읽었더니 정말로 자연스럽게 글이 쓰고 싶어졌다. 다양한 글을 써보면서 내가 과연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하는지 내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 저자의 글이 좋아 글을 쓰고 싶은 사람은 결국 자신의 글을 쓰게 될 것이니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불평하기 전에 지금 쓸 수 있는 글을 쓰면서 글과의 연을 끊어내지 않는다면 자신에게 잘 맞는 글쓰기 방식을 찾아가게 된다는 말을 기억하고 나는 꾸준히 글을 쓰고 매일 성장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노력해야겠다고 다짐해본다.

 

 

글쓰기를 잘하고 싶고, 또 목표가 있는 삶을 살고 싶다. 하지만 그 전에 내 자신에 대해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어떤 사람일까?

책 표지를 보니 나와 비슷한 나이같다. 책을 쓰고 강의를

책읽기와 글쓰기에 관심이 많아진 요즘이다. 집에 혼자 있는 시간이 전혀 외롭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