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세계사 교실 7 - 새로운 변화와 도전이 시작되다 (1750년~1910년) 마주 보는 세계사 교실 7
이순이 지음, 김수현.이광익 그림 / 웅진주니어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에 이어 세계사는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지식들 중의 하나이다.

세계사가 방대하고 넓은 분야지만 세계 주요사건들을 중심으로 알수 있는 기회를

좋은참고 서적을 통해 학습한다면 더좋은 기회는 없을거란 생각이 든다.

아이와 함께 자주 들여다보는 마주보는 세계사 교실은

각 시리즈별로 다양한 내용의 구성 때문에 방학때 특히 주로 보았던 책중의

하나이다.

새로운 변화와 도전이 시작되다(1750년부터 1910)까지의 내용들을 상세하고

설득력있게 알아듣기 쉽도록 수록이 되어 있다.

개혁과 개방에 나선 동아시아들

그중 특히 기억에 남는 조선과 일본의 방식들

흥선대원군의 페쇄정책은 근대화사회로 가는 길목을 잡는 잘못된 정치가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나라의 빗장을 걸어잠그니 다른 나라와의 교류는 당연히

없을것이니 우물안 개구리라는 말이 어울릴듯한 정치이다.

우리것을 고수하자는 생각으로 나라를 다스렸으니 한발자국 더 발전 할수 있는

기회를 그만큼 잃어 버린 셈이니 말이다.

아이들 6학년 역사책에 등장하는 조선후기 흥선대원군의 이야기는 큰 비중을 차지할정도로

자세하게 나와있다.

교과공부를 하기에 앞서 많은 도움이 되는 유용한 역사 지식들이다.

19세기에 일어난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식민지로 삼은 유럽국가들의 내용들도

눈여겨 볼만하다.

영국과 프랑스에 지배당한 이집트민족 운동의 영웅 아라비파샤의 일화또한 기억에 남는다

이집트 반란군인 아라비 파샤는 수에즈 운하를 프랑스와 손잡고 만든후 이른 탐낸

영국은 이집트 정부에게 이 운하를 사들어 이집트 왕까지 몰아내는 큰사건이 일어나

아라비파샤의 거센 저항운동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안타까운 사건이지만 이집트인들에게는 시대의 영웅으로 기억속에

오래 남아있는 인물이라는 사실도 흥미롭다.

지배하려는 자와 그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저항하는 나라의 국민들의 피나는

노력은 어느나라든지 자신의 민족성을 끝까지 지키려 하는 위대함이라 표현하고 싶다.

독립운동과 저항운동을 통해 자국의 민족성을 잃지 않으려는 모습들 속에서

전쟁과 식민지로 뒤엉킨 그 시절의 치열했던 상황들이 머릿속에 그려진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니 말이다.

이 책을 통해 아이들의 나라의 소중함과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깨닫지 않았을까...

길고긴 세계역사속의 다양한 이야기를 접하며 여러다양한 깨달음과 사고와 함께 아이들에게 또한 아이들 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다시한번 읽어보며 세계역사의 흐름속에 다시 되짚어볼수 있는 좋은 기회를 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