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순간부터 텔레비전에서는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역사 저널, 그날˝같은 교양 프로그램이 사라지고 재미 위주의 자극적인 방송만이 그 자리를 대신 꿰차게 되었다. ˝개그 콘서트˝의 주요 소재라 할 수 있는 외모 비하 개그가 시청자들의 불쾌함을 산 지는 오래고 최근 ˝런닝맨˝에서는 한 남자 개그맨의 여성혐오적 단어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적이 있었다. ˝그 많던 지식인들은 다 어디로 갔는가˝의 저자 프랭크 퓨레디는 이렇게 대중문화의 질이 점차 낮아지는 현상을 무교양주의시대라고 정의내렸다. 프레디는 전문가의 등장이 진리와 지식 그 자체를 추구하던 지식인을 사라지게 만들었고 그동안 시장과 대립해 왔던 예술이 이제는 대중의 입맛에 맞춰 상업적인 성격을 띠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예술의 상업화는 이제 놀라운 일이 아니다. 아무런 교훈은 없고 사람들의 눈을 자극하는 화려한 액션과 관객들의 웃음을 자아내는 코미디로 점철한 상업영화가 꾸준히 흥행하는 것이 그 증거다. 독립영화나 예술영화는 서울에 있는 상영관에 가야만 볼 수 있다. 서점에서도 이러한 현상은 마찬가지다. 사람들은 이제 소설 대신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에세이를 즐겨 본다.
무교양주의는 문화의 획일화와 어느정도 관련있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문화와 지식을 접할 수 없을 때 대중은 무지해진다. 그러므로 도서관, 박물관과 같은 공공시설은 많은 사람들이 지식과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대중들에게 친절히 다가가야만 한다. 요즘에는 도서관이 만남의 장과 헬스장, 컴퓨터실의 역할을 동시에 해냄으로써 지식과 시민들의 거리감을 좁혀주고 있다. 대중시설이 문화와 예술이 소수의 것만이 아니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프레디는 바로 이러한 도구주의적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도서관과 박물관, 전시회장이 일종의 치료시설로 변하면서 지식의 질이 변질됐다는 것이다. 또한 프레디는 현대인들을 위해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쉬운 용어로 풀이하고 각색하는 것 또한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데 예술의 본래 의미를 훼손 시킨다는 명목에서다. 프레디의 생각은 예술을 예술로써만 봐야한다는 의견과 맞닿아있다. 그러나 예술이 인간 정신을 고취시키고 자아를 성장시킨다는 점에서 본래 예술이란 예술 그 자체를 위한 행위가 아니라 인간을 위한 행위라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예술은 좀 더 다양하고 많은 사람을 위해 각색되고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어야 한다.
무교양주의는 프레디의 주장처럼 대중을 위해 훼손된 지식의 질 때문에 도래하거나 지식과 예술을 소수만이 독점해서 도래하거나 둘 중의 하나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시대는 전자의 모습이다. 많은 사람들이 지식과 문화를 누릴 수 있게 됐지만 우리가 쉽게 얻는 지식들이 과연 허위사실인지 아닌지 조차 알기 힘들다. 그러나 대중들이 현재 몸 담고 있는 사회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아니다. 프레디가 그토록 경계하던 상대주의적 관점에서 사람들의 다양한 의견과 토론이 만들어지고 있다. 대중들이 지식인의 도움을 구세주처럼 필요로하는 무지의 덩어리라면 ˝개그 콘서트˝의 외모 비하 개그에 아무런 반발도 없었어야 하고 ˝런닝맨˝에 출연한 한 개그맨의 혐오 발언에 그토록 많은 비판이 쏟아지지 않았을 것이다. 대중은 우리가 두려움에 떨만큼 무교양적이지도 않고 더 큰 힘을 발할 수 있는 존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