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 갑옷 책속의책 그림책
강현진 지음, 지연리 그림 / 책속의책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표정한 모습으로 머리를 단아하게 빗은 여자가 <유리 갑옷>을 입고 칼을 들고 있어요. 상의는 갑옷이지만 하의는 타이트스커트에요. 


배경과 인물의 선명하지 않은 선의 교차가 사람의 존재를 지워버리는 듯 보여요.



유리 갑옷

책속의책

글. 강현진

그림. 지연리

24.01.05




빌딩 숲에서 일한다는 이야기로 여자의 독백이 시작돼요. 붉고 푸른색의 그래프 어딘가를 응시하고 있는 여자의 시선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 수 없어요. 


집으로 돌아와도 <유리 갑옷>을 벗지 못하고 잠들어요. 꿈속에서 철갑을 두른 기사가 칼을 들고 쫓아와요. 


잠이 깨어 아침이 되어도 편하지 않아요. 도망갈 곳이 없는 여자는 어둠 속으로 떨어지고 말지요. 




피를 흘리며 눈앞에 보이는 바다로 겨우 걸어가 바닷속으로 뛰어들어요. <유리 갑옷>이 녹아 사라지자 여자는 비로소 자유로워집니다. 


빌딩 숲으로 다시 돌아와야 하지만 여자를 불편하게 만들었던 <유리 갑옷>은 이제 사라지고 없네요.





여자는 꼿꼿하게 허리를 펴고 앉아있지만 편하고 당당해 보이기보다는 불편하고 힘들어 보여요. 하지만 그 표정에서는 일말의 힘든 여지도 보이지 않아요. 묵묵히 그 상황을 견뎌낼 뿐이죠. 


하지만 '견딘다'라는 건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해요. 오래, 자주 견뎌야 하다 보니 여자는 가장 편안해야 할 집에서, 침대에서조차 제대로 잠들지 못해요. 악몽은 결국 현실에서도 벌어지고 결국에는 어둠 속으로 떨어지고 말지요.






지나치게 빠른 문명의 발달,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들이 사람들을 점점 피폐하게 만들어요. 정신적인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요. 


가부장적이며 경쟁적인 사회에서 오랫동안 억눌렸던 감정들을 표현하는 게 더 이상 흠이 아닌 시대지만 이미 그런 사회에 길들여진 나는 나 자신을 도저히 용납할 수 없어요. 

타인이 원하는 대로, 사회가 요구하는 모든 것들을 다 수행해야만 제대로  사는 것 같은 느낌이 팽배하죠. 



이건 비단 여자들 뿐만은 아니에요. 여자들이 엄마로서, 며느리, 딸로서의 역할을 요구받듯 남자들도 아들, 아빠, 사위로서의 역할을 강요받죠. 



나에게 주어진 여러 역할들을 수행하다 보면 정작 내가 날 위해 시간을 내고 돌보는 시간이 사라져요. 


여자들은 특히 육아를 하다보면 그런 일들이 더 왕왕 일어나는 것 같아요. 하지만 내가 나를 돌보지 않는다면 누가 나를 돌봐주나요. 






어둠으로 떨어져 피가 뚝뚝 흘러도, 내면의 우는 아이를 발견해도, 뛰어들고 싶은 바다를 찾았어도 눈앞에서 외면하고 다시 돌아와 일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는 그래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했었거든요. ㅠㅠ 


지금은 아니에요. 아이들도, 가정도, 일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제 자신을 최우선으로 놓고 살아가고 있어요.


 지난 과거를 돌아보면 너무 슬픈 현실이지만 자기 자신을 돌보지 않으며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이 있기에 아직도 자기개발서와 치유, 힐링에 관한 많은 책과 영상들이 쏟아진다고 생각해요.





삶이라는 건 즐겁고 행복하기도 하지만 참 힘들 때도 있죠.  나를 지키기 위한 갑옷도 필요하지만 그 갑옷에 나 자신을 가두지는 말아야 해요. 


심지어 나를 지키기엔 너무 위험하고, 나 자신도 아프게 할 수 있는 <유리 갑옷>은 부디, 제발 더더욱 벗어던지면 좋겠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유리갑옷 #책속의책 #자아발견 #페르소나
#나로서사는것 #내면의바다
#책세상 #맘수다 #책세상맘수다카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