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군이 된 간호사들 천천히 읽는 책 56
이창숙 지음 / 현북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월은 무더운 여름을 즐기기 좋은 달이기도 하지만 광복절이 있어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노력했던 많은 분들을 떠올려 봐야 하는 달이다. 3.1운동과 대한민국 100주년을 맞아 현북스에서 발간한 <독립군이 된 간호사들>은 청소년 문학으로 발간되었지만 성인인 내가 읽어도 몰랐던 내용들을 자세히 알게 되고 생각해야 할 것들이 많은듯해 공유해 보려 한다.



대한간호협회에서는 독립운동을 한 간호사들의 삶을 발굴하고 있다고 한다.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간호사 74명의 이야기를 [독립운동가 간호사 74인]에 기록하고 그중 박자혜, 정종명, 노순경 3분의 이야기를 <독립군이 된 간호사들>에 상세히 묘사하고 나머지 71분의 이름과 행적을 간단히 기록했다.



144페이지의 얇은 책이지만 그 내용이 아프고 방대해 빨리 읽을 수가 없었다. 진정 천천히 읽어야 하며 이야기에 따라 변하는 시대상을 함께 찾아보면 더욱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자세히 기록된 세 분의 이야기도 일부분일 뿐 그녀들의 탄생과 죽음까지 모조리 기록되어 있지도 않고 후손들을 찾지 못하는 분도 계시다는 게 안타까웠다.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여자들이 배우고 독립운동에 앞장서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몇백 배는 더 힘들었을 텐데 묵묵히 해낸 분들의 이야기들이 지금의 양성평등 교육과 함께 긴 호흡으로 아이들과 함께 읽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보다 더 힘든 시기에 일제의 감시에 심한 생활고를 겪고, 고문으로 고통당하면서도 독립에 대한 열망을 감추지 않고 그 길을 찾아 행하는 모습에 절로 마음이 숙여졌다. 남아있는 사진만 보면 가녀린 여성의 모습인데 그 속에 담긴 굳건한 의지를 본 받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독립운동. 막연히 감사해야 된다는 예의상 감사가 아니라 발굴되지 못하고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발굴하고, 후손들이 등록 신청을 하지 않아도 애국지사로 등록되도록 시스템을 만들고, 국내 국적을 얻지 못한 채 해외에서 돌아가신 분들을 모셔오는 일들로 감사함을 표현할 수 있으면 좋겠다.

책을 읽고 나니 일제 강점기 35년의 잔재가 지금도 뿌리 깊게 남아있다는 사실이 치를 떨리게 한다. 온 집안이 독립운동에 힘쓰다 자손도 남기지 못해 이름조차 알리지 못하는 분들이 계시다는 게 너무 안타깝다. 쓸데없는 당쟁 싸움은 그만두고 우리나라를 지켜주고자 노력하신 숨은 독립투사들의 후손들을 찾아 대신 감사 인사를 전함이 마땅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현북스 느리게 읽는 책, <독립군이 된 간호사들>은 <독립군이 된 어머니 / 2019.08.01>, <독립군이 된 부자들 / 2021.11.10>에 이어 세 번째 발간된 독립군 이야기 시리즈였다는 것은 책을 다 읽은 후였다.

위인전처럼 일대기가 전체 조망되지도 않지만 독립을 위해 투쟁했던 그들의 이야기를 담은 현북스 독립군 시리즈가 매년 광복절을 기준으로 그간 밝혀내지 못했던 숨은 독립투사들을 더 많이 발굴해 널리 알리고 우리 선조의 모습을 아이들에게 더 많이 보여주면 좋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직접 읽어보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현북스 #독립군이된간호사들 #느리게읽는책

#독립군 #대한독립 #광복절

#한국근대사 #독립투쟁 #독립투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