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현대 서울 인사이트 - 사람들이 몰려드는 ‘페르소나 공간’의 비밀
김난도 외 지음 / 다산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문에서 저자는 분명히 언급한다. "객관적인 분석을 노력했지만 아무래도 현대백화점에 호의적인 서술이 많아질 수밖에 없음을 인정한다." 책 자체가 더현대 서울을 중심으로 서술되기 때문에 이 점은 당연하다고 생각했지만 읽으면서 크게 거부감을 느낄 만한 내용은 없었다. 오히려 책의 핵심 내용은 <뉴리테일 시대를 장악하는 비즈니스 전략>이다. 

그렇다면 저자는 하필 왜 그 많은 쇼핑몰과 백화점 중에서 더현대 서울을 서술하게 됐을까. 

더현대 서울이 입점하기로 한 공간은 원래 백화점이 아니라 쇼핑몰로 기획된 공간이었다. 이 점에서부터 큰 도전이었을 거라는 걸 짐작할 수 있다. 사실 나도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백화점이나 쇼핑몰이나 비슷비슷하지 않나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크고 넓은 공간에 다양한 브랜드들이 입점해 있고, 물건을 사고 파는 행위 뿐만 아니라 식사나 군것질, 커피 등의 음료도 마실 수 있는 거면 크게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했었다. 나와 같은 독자도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라도 했던 걸까 건축적인 차이점도 서술하고 있다. 책에 따르면 건축적으로 쇼핑몰과 백화점은 다르다. 쇼핑몰은 개방감이 중요하고 백화점은 고객의 쇼핑 몰입이 중요하므로 벽으로 둘러싸여 아늑한 느낌을 주는 것이 중요하기에 기본 골격부터가 다르단다. 하지만 더현대 서울은 기본적인 골조는 완성된 상태에서 (+토지 소유주 간의 분쟁으로 공사가 중단된 상태에서) 입주가 결정되었다고 한다. 즉 이미 제약조건이 있는 상태에서 시작된 프로젝트였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큰 차이점과 제약조건을 어떻게 극복하고 더현대 서울이라는, 입지 조건도 좋지 않은 곳을 서울이 아닌 지방에서도 굳이 찾아오게 만드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탄생시킬 수 있었는지 그 비결이 궁금해진다. 


총 다섯 파트로 이루어져있는 이 책은 각각 일반적인 백화점과는 다른 세부적인 타깃 설정, 이미 제약이 많은 곳에 어떻게 환상감을 불어넣어 ‘이 곳은 나의 공간’으로 여기며 자기 정체성을 투사할 수 있는 페르소나 공간으로 만들었는지, 이미 쇼루밍 쇼핑이 익숙한 세상에 어떻게 사람들을 오프라인으로 끌어낼 수 있을 정도의 새롭고 개성있는 제품을 입점시켰는지, 백화점 없는 백화점 광고가 가능한 이야기였는지, 그리고 오프라인 공간에서도 어떻게 다양한 기술을 시도했는지에 대해 분석과 친절한 설명을 통해 더현대 서울의 성공을 파헤쳐 간다.  


 책은 더현대 서울 지점에 대한 홍보나 칭찬이 아니라 일단 보통 유통업계의 전반적인 실무에 대해 쉽게 이해할  있도록 필요한 정의와 개념을 잡아줄 뿐만 아니라 넓게는 건축과 백화점의 역사  새로운 사실도 함께   있어 유용했다그래서 유통이나 경영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전반적인 업무에 대해 가볍게 맥락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있는 책이자 동시에 뉴리테일 시대에 필요한 정신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거리를 제공해주는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