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개 도시로 읽는 세계사 - 세계 문명을 단숨에 독파하는 역사 이야기 30개 도시로 읽는 시리즈
조 지무쇼 엮음, 최미숙 옮김, 진노 마사후미 감수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를 공부할 때 항상 난감한 점은 어디서부터 시작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점인 것 같다. 

학창 시절에는 선택과목이었기에 과감히 제외했었는데 세월이 흐를수록 '역사'는 

굳이 시험과 상관없이 알면 좋을 것 같다는 것을 한 해 한 해 체감하게 된다.

나라의 흥망성쇠, 도시의 흥망성쇠도 우리 사람의 인생과 비슷한 점이 많아 

역사를 공부하면서 내가 나아가야 할 방향,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점이 역사(한국사이든, 세계사이든)의 매력인 것 같다.

방대한 내용으로 조금 부담스러울 수도 있는 세계사를 가볍게 시작할 수 있는 책을 알게 됐다.


<30개 도시로 읽는 세계사> 

조 지무쇼 편저, 진노 마사후미 감수, 최미숙 옮김, 출판사 다산북스


목차를 보면 책 제목처럼 딱 30개 도시만을 서술하고 있다.

들어가는 글에 따르면

도시 문명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세계 주요 도시들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한다.

그래서 다른 역사 책과 달리 챕터가 도시별로 나누어져 있어

하루에 한 챕터씩 가볍게 읽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굳이 순서대로 읽을 필요가 없는 점이 좋았다.

기분 전환 겸 내가 가고 싶은 도시, 가본 적 있는 도시, 이름도 낯선 도시 등 

다른 역사 책과 달리 그날그날 마음 가는 대로 선택해서 읽으면 된다.

도시를 대표하는 건축물이 지어진 유래, 그 당시의 시대 상황에 대해 

정말 가볍게 서술하고 있어 세계사 입문자에게는 꽤 괜찮은 것 같다.

뿐만 아니라 주요 건축물, 인물의 사진, 그리고 간략한 지도 등의 자료가 함께 실려있는 점이 좋은 것 같다. 

​게다가 현존하지 않는 도시에 대해서도 간략히 알 수 있는 점도 좋았다.

물론 '지금은 없는 도시를 알아서 뭐 하지'라고 느낄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현재 도시의 과거의 모습의 일부분을 배우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것도 그리 쓸모없는 정보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방대한 세계사를 어디서부터 어떻게 공부할지 모를 때, 

정말 가볍게 하루에 한 챕터(한 도시) 씩 읽어나갈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더 알고 싶은 도시, 또는 그 도시의 나라에 대해 

공부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는데 도움을 준 도서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