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기업의 딜레마 - 미래를 준비하는 기업들의 파괴적 혁신 전략, 개정판 Harvard Business 경제경영 총서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지음, 이진원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레이튼 그리스텐슨'의 '혁신기업의 딜레마'라는

책은 많은 것을 느끼게 해주는 책이다.

당연히 우리는 회사가 망할때 무언가를 잘 못했다고

판단하지만, 그 회사의 경영진들은 결코 게으르거나,

잘 못된 판단을 한게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크리스텐슨 교수가 이야기하는 것처럼 다른 판단을

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파괴적 기술은 과거에 통용됐던 것과 아주 다른

가치명제를 시장에 선보인다." 사라진 회사의 경영진은

다른 가치명제에 대한 주주의 이익과 회사의 상황을

충실히 이행했기 때문에 문닫을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기존 기업들의 입장에서 보면 존속적인 기술에 대한

투자는 파괴적기술에 대한 투자보다 훨씬 덜 한 것처럼

보인다. 이미 고객들이 존재했고,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존속적 기존기업들이 어쩔 수 없이 선택해야하는

길이 있음을 강하게 이야기 해준다. 시장에서 어느정도

자리를 잡고 있는 기업에서 파괴적 기술에 대한 투자 및

전략의 시행은 많은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아마 현재의

많은 기업들도 그러한 문제들이 수시로 많이 발생하고,

있을 것이다. 


혁신기업의 딜레마라는 책은 하드디스크라고 불리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사례와 굴삭기 업체의 사례,

철강기업의 사례를 통해서 기존의 기업들이 결코

나태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현실에 더 충실히 경영

의사결정을 시행하였음을 보여준다. 다만, 파괴적기술이

미칠 앞으로의 고객 행동에 대한 분석이 미흡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기존기업의 중간 경영자들이 시장 수요가 

가장 확실한 프로젝트를 지원하게 되는 경향을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도 이야기 한다.


단순히 어떠한 이론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고, 주장을 이야기 하는것 또한 아니다.

이 책은 수치에 근거하여, 드물게 각종 Data를 통해

검증된 내용으로 논리적으로 하나 하나를 설명해 준다.

막연하게만 생각했던 부분들이 논리적으로 충실히

크리스텐슨만의 방법으로 결론에 도출되는 것은 

이 책의 가치를 더욱 높게 평가하게 만든다. 


회사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하는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