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전략의 역사 - 손자병법부터 AI전략까지 전략의 핵심을 한 권에! CEO의 서재 22
고토사카 마사히로 지음, 김정환 옮김 / 센시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략의 정의는 전략에 관한 책의 수만큼 존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략론의 대가로 꼽히는

유타대학 교수 '제이 바니'의 말이다.


민츠버그의 '전략의 5P'를 플랜, 패턴, 포지션, 퍼스펙티브,

플로이로 정의한다. 여기에서 플로이(Ploy) 책략이라고

부르는 전략행동은 외부요인과 내부요인과도 관련짓기

곤란한 독특한 성격을 띤다.이것이 전략의 인간적인

측면에 다가간다고 판단한다.


그렇다. 이 책은 경영의 전략적 판단중 A~Z까지를

정의하고, 이에 대한 설명으로 좋은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해서 한단계 한단계 지혜를 키워나갈 수 

있도록 지도하는 지도서이다.


회사를 경영하면서 전략이라는 용어를 쓰는 곳은

그나마, 정기적이거나 부정기적으로 회사의 방향을

진단하는 규모있는 회사일 것이다.

그렇지만, 작은 회사라고 해서 전략을 생각지 않는다면

그건 불이난 곳 앞에서 몸에 휘발유를 끼얹고, 춤을

추는 것과 다를 바가 없을 것이다. 

적어도 제대로 회사를 운영한다면, 전략은 아니더라도

목표나 방향은 정해서 진행할 것이다. 그렇다. 전략없는

회사는 없고, 그것이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고, 실현되기

때문에 잘 못느낄 뿐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일종의 협의의 전략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한 회사의 전략계획을

한권의 책으로 만들더라도, 현실의 시장에서는 

지속적으로 바뀌고, 상황에 따라서 또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이 책은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있다. 


시장은 19세기 이후로 변화하여,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소비자의 패턴 또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지속적인 전략은 없으며, 변하지 않으면

성공을 장담할 수 없음을 이야기 하고 있다.


현재의 기업을 운영하거나, 회사의 발전을 고민하는

많은 전략가들은 반드시 이 책을 읽고 말랑말랑한 두뇌로

현재의 상황을 지켜보고, 변화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