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의 사람 공부 -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사람의 도리
이황 지음, 이광호 옮김 / 홍익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분한 퇴계의 글은 하늘의 이치를 바라보고,

학문과 지식에 대한 갈망은 천지를 뒤흔든다.

우리가 천원지폐에서 늘 보는 퇴계는 그냥 

조선의 일반적인 학자가 아닌 그 자체로서 하나의

학문임을 이 책을 통해 느낀다.


이 책을 읽으며 그 깊이를 가늠하는 것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일만큼 어이없는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퇴계'의 호가 무슨 뜻일까하는 생각이 든적이 있었다.

바로 떠오르는 것도 없으며, 한문으로도 이해하기 

쉽지 않은 단어다. 이 책에 어느 부분을 소개하면,

퇴계라는 말은 '물러나 시냇가에 산다'는 

'퇴거계상'이라는 한자성어에서 의미를 취하여 

'퇴계'라는 자신의 호로 삼았다고 한다.

자신의 호에서 보듯이 퇴계는 자연에서 살며

자신의 지식과 학문을 넓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며 인생을 살았다.


 근세에 들어 다시 재조명되는 퇴계학을 통해

퇴계의 학문의 깊이가 여느 성인, 군자에 비견될

정도로 깊고 넓으며, 우리나라 학문에 큰 획임을

이 책을 통해 많이 느끼게 된다.


퇴계의 사람공부라는 책을 통해 자연스럽게 독자들은

마음의 평안을 얻을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나 또한 읽으며, 차분해지고 한수, 한수를 더해가며

학문과 도는 시간을 초월하는 무언가의 힘이 있음을

또다시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