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1 - 민족의 형성과 민족 문화 살아있는 휴머니스트 교과서
전국역사교사모임 엮음 / 휴머니스트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교과서를 읽었는데.. 이해가 잘 되는 교과서를 읽은 느낌 ㅋㅋㅋ나름 스토리가 있고 교과서처럼 딱딱하지 않아 좋긴 했다. 단순 암기가 아니라 배워야할 내용을 최대한 설명으로 풀어내 학습자가 이해하기 좋게 만든 책. 나는 지금까지 고인돌이 권력자가 죽었을 때 사람들이 돌을 옮겨 만든 거라 생각했었는데, 나름 과학적으로 땅을 파서 받침돌을 세우고 지상위로 올라온 부분을 무덤처럼 덮은 다음 덮개돌을 얹고 흙을 치워 세운 건 지 몰랐었다. 이런 설명이 다 되어 있다.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서술한 것이 아니라 문학적인 것들도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더욱 좋았다.


몰랐었는데, 돈이 없는 환자를 몰래 탈출시켰던 바보 장기려 박사가 이산 가족이었다는 걸 이 책을 읽고 알게 되었다. 드라마 도깨비에서 마지막 황천길 가기 전에 이산 가족이었던 노부부가 짧은 사랑, 긴 이별의 아픔을 보여줬던 장면이 있었는데, 그것과, 장기려 박사 부부의 편지, 그리고 이산 가족이야기와 더불어 장기려 박사에 관한 글을 엮어 아이들한테 가르치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다. 


중고등학생이 공부할 때 정말 좋을 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 


근데 사실.. 

정말 읽을 책이 다 떨어져서.. 이걸 읽었다 ㅋㅋ


한글 학교 가서 아이들 역사를 가르칠 때 생각을 하는 것 중에 하나가.

아이들 중 한국어를 왜 배워야하는지 그 이유를 모르는 아이들이 정말 있고..

한국 역사는 더더욱 그렇게 받아들이기가 쉽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아이들에게 가르칠 것들에 대해서도 고민하지만 어떻게 하면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더 많이 한다. 


수업 시간은 제한적이라 아이들에게 더 많은 것들을 주고 싶지만 우리 역사속에서 반짝이는 것들 내가 한국인으로서 자부심을 가질 수 있을 만한 것들을 찾기 위해 열심히 읽었다. ^^


*책 속의 말말

1.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이자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이기 때문에 항상 새롭게 서술되어야 한다. 


2. 역사의 참뜻은 어제의 사실을 그저 지난 일이나 흥미 있는 이야깃거리쯤으로 흘려보내지 않고 오늘의 교훈으로 삼고 내일을 설계하는 디딤돌로 만드는 데 있다. 이 과정에서 여기저기 널려 있는 사실들을 촘촘히 엮고 다듬어서 우리 삶에 보석 같은 가르침이 되게 하는 것이 역사가의 몫이다. 이러한 과정을 어느 역사학자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 과거 사실과 역사가의 대화'라고 했다. 


3. 기원전 70만년 전 - 구석기 문화 시작 기원적 8000년경 신석기 문화 시작 (암사동 유적지 - 기원전 5000년경), 기원전 2333년 단군왕검, 기원전 1500년경 청동기 문화 시작, 기원전 400년경 철기 문화 시작, 기원전 108년 위만 고조선 왕이 됨 기원전 69년 신라 박혁거세 탄생- 기원전 59년 해모수 북부여 건국 - 기원전 58년 동부여 주몽탄생 


4. woman은 man의 소유물이란 뜻, history는 남자 이야기his story. her story를 찾아보자.


5. 알은 태양을 상징 


6. 발해는 고구려 부흥 운동의 값진 열매로서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중국과 맞서 싸우면서 세워진 나라다. 


7. 장가가기 - 조선 중기까지도 장가가기 처가살이가 더 익숙했다. 조선 왕조는 이러한 혼례 전통을 고치려고 노력했다. 임진왜란을 지나면서 남자 중심의 체제가 강화되는 17세기 후반부터 장가가기에서 시집가기로 바꼈다. 우리의 긴 역사를 보면 오히려 생긴지 얼마 안 된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8. 아부일구- 최초의 공중 시계, 중국에도 없던 발명춤 조선시대 해시계 천민 출신 장양실

혼천의 - 천체의 위치와 운행을 측정하는데 쓰인 기기 

자격루- 물시계

측우기- 세계 최초 


10. 고려시대는 남편이 죽으면 부인이 재혼하는 것이 자연스러웠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