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의사의 사계절
문푸른 지음 / 모모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충청도 내륙 지방에서 나고 자란 나에게 바다와 맞닿은 도시에 산다는 것은 은근한 동경이었다. 대학에 진학하며 인천에 자리 잡게 되어 매우 설레긴 했지만 인천 앞바다는 동해나 남해의 아름다운 바다 뷰에 비하면 아쉬운 마음이 많이 든다. 이쪽 지역에 자리잡은 지도 벌써 햇수로 8년 차, 그래도 여전히 자유공원 뱃머리에서 바라보는 인천대교는 아주 좋아하는 풍경이다. 


 부산이나 남해 쪽 혹은 제주도 여행을 갈 때마다 되새기는 소망은 언젠가는 꼭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집에서 한 달살이를 해보는 것이다. 한 달이 너무 길다면 2주라도... 아님 1주라도.... 이건 지리산 산골소녀 출신인 우리 엄마의 소망이기도 해서 엄마랑 같이 떠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내륙인으로서 바다를 쉽게 볼 수 있는 곳에서 산다는 것은 너무 로맨틱한 일이라고 생각되지만 섬에 거주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이다. 섬을 떠올리면 생각나는 이미지는 거칠고, 폐쇄적이다. 연고가 없는 섬에서 거주하게 된다고 생각해 보면 조금 무섭기도 하다. 


 이런 막연하게 부정적인 이미지는 이 책을 읽으면서 구체화됐다.


 이 책의 초반에는 저자가 섬에 들어가기 전에 여자친구와 처음 만나고, 썸을 타고, 사귀게 되는 과정이 나온다. 드라마처럼 달달하고 간질거린다. 나도 모르게 흐뭇한 미소를 짓고 읽게 된다. 남편과 썸을 타고, 사귀며 서로를 조심스럽게 알아가던 때를 자꾸 떠올리게 됐다. 


 하지만 연애 초반의 달콤함은 잠깐, 저자는 곧 공보의 근무를 위하여 섬으로 들어가게 된다. 섬에서 일 년을 보내면서 있었던 일, 느꼈던 감정을 저자는 밝은 면도 어두운 면도 가감 없이 보여준다. 사람에 의해 상처받지만 사람에 의해 위로받는다. 자연 앞에 무력해지지만 자연을 느끼며 한걸음 한걸음 나아갈 기운을 얻는다.


 가볍게 읽으며 힐링하기 좋은 책이었다. BUT 저자 지인도 아닌데 결말은 내가 다 속상해지는..... ㅋㅋㅋ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