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리고르의 중매쟁이
줄리아 스튜어트 지음, 안진이 옮김 / 현대문학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중매. 어렸을 때 중매는 나이 많이 먹은 노총각, 노처녀들이 더 이상 오갈 데가 없어진 마지막 최후의 순간에, 어른들이 억지로 맺어주는 인연으로 생각했다. 그.런.데!! 내가 어느새 중매를 보고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중매라기보다는 소개팅에 가까운, 어른들의 소개도 있지만 아는 선배, 언니, 오빠들이 시켜주는 친구 사귀기의 장과 같은 만남이지만, 엄연히 따지면 이것도 중매라면 중매가 아닌가. 그걸 내가 보고 다닌다는 것이다.

중·고등학생 때만 해도 대학교에만 가면, 취직만 하면 자연스레 남자친구도 생기고, 애인도 생기고, 결혼도 하게 되는 줄 알았다. 노력하지 않아도 말이다. 하지만 웬걸, 연애 한번 하기가 이렇게 복잡하고 어려운 건줄은 몰랐다. 나와 맞는 사람, 나의 반쪽을 찾는 일이 이토록 어려울 줄은.

자기 인연 찾기도 이리 힘든 판에, 남의 인연을 맺어주기란 어떨까. 그 어려운 일을 겁도 없이 하겠다고 나선 이가 있었으니, 바로 ‘페리고르의 중매쟁이’ 속 주인공 기욤 라두세트다. 이 작품은 유럽 특유의 느긋함과 유머가 가득하다. 개인적으로는 문화적 차이로 인해서인지 별로 와닿지도 않고 지루한 감이 없지 않아 있는 부분이었는데 기호에 따라 좋아하시는 분들은 참 좋아했다.

이 기욤 라두세트는 프랑스 남서부 페리고르 지방의, 33명 밖에 사람이 살지 않는 작은 마을에서 19년간 이발사로 일 해오다가, 언젠가부터 유행에 따라 이발소를 옮겨 점점 줄어드는 손님들에 회의감이 들어 직업을 바꾸기로 한다. 그리고 그 바꾼 직업이 바로 ‘중매쟁이’.

<마음의 욕망>이란 이름으로 중매사무실까지 차리고서 말이다. 그렇게 기욤은 마을 사람들을 엮어주는데 실패하기도, 성공하기도 한다.

여기서 웃기는 것은 정작 기욤 자신이 아직 짝을 찾지 못한 싱글이라는 사실인데, 어느날 기욤이 26년간 짝사랑 해온 에밀리에 프레세가 마을로 돌아오게 된다. 중이 제 머리 못 깎는단 말이 바로 이 기욤을 보면 백분 이해가 갈 정도로 남의 사랑 앞에 왈가왈부하던 그가 자신의 사랑 앞에선 허둥거리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웃음이 난다.

내 주위에도 이런 사람들이 있다. 정작 자기 자신은 연애 한번 제대로 못해봤으면서 자기 주변의 사람들은 하나같이 성격과 취향들을 파악해 짝꿍을 찾아준다. 그 사람 덕분에 결혼에 골인한 커플도 꽤 된다. 그 사람에게 한번 물어본 적이 있다. 당신은 사랑 안 하고 싶냐고, 당신에게 맞는 짝은 왜 아직 찾지 못한 것 같냐고. 그러자 인연은 멀리서 봤을 때 더 잘 보이는 것 같다고, 자기 인연도 분명 자기 주변에 있는 사람들로 인해 찾게 될거라고 믿는다 했다. 이 동화같은 말을, 이 작품 ‘페리고르의 중매쟁이’의 주인공 기욤이 실천하고 있다. 환상적인 이 동화를 직접 읽고, 그 따뜻한 기운을 얻어가길 권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