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신선과 귀신 이야기
임방 지음, 정환국 옮김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어릴 적 이야기 듣는 걸 좋아해서 침대 맡에서 이야기 읽어 주는 것을 끝까지 듣고서야 잠들곤 했다. 아버지가 사다 주신 이야기 테이프가 너무나 재미있어서 듣고, 또 듣고 나중엔 테이프가 늘어져서 듣기 힘들 지경까지 되었지만 그런 부분은 이미 머릿속에 있는 부분으로 대신하여 계속 들었던 기억이 난다.

책을 좋아하게 되었던 건 글을 깨우치고 동화책을 읽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동화 속에 나오는 왕자와 공주의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워서 그리기 시간에 탑에 갇혀 물레를 짜는 공주와 그녀를 구하러 온 왕자의 모습을 그리기도 하였다. 그맘때쯤엔 거의 모든 이야기를 섭렵하여 알만 하면서도 계속 읽었던 것은 그 세계가 너무도 좋아서였나보다. 어느 정도 성인이 된 이후에도 그런 동화와 같은 세상은 반드시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 왔다.

피터 팬 이야기를 좋아하던 시절엔 상상력을 가지면 이 땅에서 발을 떼고 날아오를 수 있다고 정말 믿었던 것 같다. 그런데 이제는 온전히 그 땅에 발붙이고 산다는 생각이 든다. 아예 두 발이 뿌리로서 박힌 것처럼.

 

그토록 좋아하던 머나먼 왕국 이야기를 터무니없다고 무시해버리고, 이상한 탈을 쓰고 그 겁나게 먼 왕국 ‘Far far away Kingdom’에서 왔다고 설쳐대는 녹색 괴물을 ‘등신’이라고 부르는 지금. 좋아하는 옛날이야기라고 해 보았자 김동리의 애틋한 이복동기간 사랑이야기도 아니요, 의절한 동생을 강가에서 찾아다니는 사람의 이야기도 아니며 오직 작가가 몸소 겪고 고생한 회고담들뿐이다. 그래서 다 읽고 나면 그들의 질곡에 너무나도 가슴 아파 하지만 여전히 느끼기는 이야기를 좋아하는 나의 본성이다.

 

한동안 옛날이야기를 잊고 살았는데 무심결에 읽게 된 책 한권이 어렸을 적 생각을 이토록 장황하게 풀어내게 한다. 처음엔 장화홍련 이야기같이 무섭고 괴기스러운 이야기로 가득 차 있는 줄만 알았던 조선의 신선과 귀신 이야기에서 예전에 읽었던 ‘어른들을 위한 그림동화’라는 책이 떠오른다. 첫 장을 열면 ‘지리산에서 신선 장도령을 만난 벼슬아치’라는 이야기와 마주하게 된다. 어느 벼슬아치가 지리산을 가다가 산 속에서 길을 잃게 되었는데 뜻밖에 신선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그런데 거기에서 만난 신선은 뜻밖에도 자기가 불쌍히 여겨 돌보아 주던 비렁뱅이 식객이었던 것이다. 죽은 줄로만 알았던 식객이 사실은 도력이 높은 신선이라 선비의 호의에 감사하여 극진한 환대를 베푼다.

 

선비가 머무르며 유람하던 신선세계에 대한 묘사에서 역설적이지만 익숙지 않은 친근함을 느꼈다. 산호와 수정으로 이루어진 전각이며, 무엇보다도 그러한 궁전들이 뾰족한 첨탑의 서구식 건물들이 아니라 기와로 덮인 날아갈 듯한 팔작지붕의 궁전이라는 것. 그리고 예로부터 춤과 음악을 사랑하는 우리 민족이었기에 어김없이 손님접대에 풍악이 연주되는 것 하며. 그러한 친근함을 익숙함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나는 슬프게도 나도 모르는 새 이방인이 되어버렸던 걸까.

 

장면이 눈앞에서 펼쳐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은 건 화자의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뛰어난 솜씨 때문이었다. 상상력을 자극하는 세세한 묘사도 그러하지만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선비들의 말은 최대한 배제하고 그가 보고 듣고 느낀 것들만을 주로 서술함으로써 글을 읽는 누구나가 선비가 된 것 같은 느낌이 들게 한다. 그래서 두 번째 이야기에서 유생이 신선의 딸과 결혼하게 되어 행복한 나날을 보내게 되었을 때 내 일인 것만 같아 황홀했다.


 

책의 아쉬운 점이라고 한다면 이야기가 너무 짧아 다소 감질 맛나게 한다는 것이지만 의외로 장점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이 책은 원래 민간에 떠도는 기이한 이야기들을 채록한 것이다. 일부는 허황되게 여겨지고 사실을 윤색한 것이기도 하지만 어쩌면 사실일지도 모른다. 너무나 장황하고 긴 이야기라면 누구나 이것을 틀림없는 허구라고 치부하겠지만 아름다운 하나의 단편을 접하고 그것이 예상외로 너무나 짧게 끝나게 되었을 때엔 사실인지 거짓인지 혼동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내용 중에 전우치가 조선의 3대 신선을 언급하는데 장도령, 정렴, 윤세평 각각의 이야기가 뒤이어 나오기에 더욱 사실처럼 여겨진다. 생각해보라. 그 시절 순박한 민중들의 입에서 입으로 이러한 이야기가 전해졌을 것이다. 아마도 힘든 노동의 중간이나 하루를 끝마치고 잠자리에 들기 전 기이한 이야기들이 지금의 뉴스인 것 마냥 전해졌으리라. 그래서 이야기를 들은 이들은 이인(異人)이 와서 고단한 삶을 구원해주거나 자기도 먼 길을 가다가 그런 신선들을 만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삶의 청량감을 얻었을 것이다.

 

이야기들을 읽으며 마음이 푸근해지는 느낌을 받는 건 거의가 행복한 결말로 끝나기 때문이다. 전란과 참화로 고단하고 피폐한 삶을 살았던 선조들이지만 그러한 아픔이 마음속의 착한 심성까지는 건드리지 못했던 것일까. 게르만 인들의 대서사시였던 ‘니벨룽겐의 노래’를 읽으며 그 참혹한 결말이 충격적이기까지 했지만 우리네들의 이야기에선 죽을 만큼 중한 죄를 지은 사람도 없고 설령 죄를 짓거나 인심을 잃는 행위를 했다손 치더라도 크게 징벌되는 일이 거의 없다. 심지어 그것이 지존의 존재에 대한 불경이었다손 치더라도. 책 속의 김유신 혼령 이야기가 나오기도 하지만 해인사에 내려오는 민담 중 불경한 자가 부처를 욕하고 대장경이 보관된 전각을 향해 오줌을 누자 알 수 없는 힘이 그를 담장 밖으로 내던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러나 벼락을 맞아 죽거나 급사를 맞는 경우는 별로 없다. 이처럼 ‘죄를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않는다.’는 선조들의 관용의 정신이 그립기까지 하다.

 

지금은 예전의 기이한 이야기나 야담이 조그마한 흥미조차 끌지 못하니 안타깝기도 하다. 이미 헐리웃의 네버엔딩 스토리에 중독되어 버리고 생명이 걸린 사투가 아니면 시시하게 여기는 지금의 우리 모습이. ‘갈’이라는 모나지 않은 소리가 지금의 ‘칼’이라는 소름 돋는 거센소리로 바뀐 것은 임진왜란 이후라고 한다. 여러 전란을 거친 이후로 언어마저 거세고 된소리로 바뀌어 버린 것이다. 어딜 가나 억척스럽고 성격 급하다는 평가를 받는 한국인들. 옛 것과 그닥 호응하지 못하는 지금의 사람들은 지금까지 우리 민족이 겪었던 아픔들이 옹이가 되어 만들어진 사람들 같아 가슴이 아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