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사람이 의존성 성격 장애일 때 - 숨 막히는 집착에서 벗어나 나를 지키고 그를 돕는 법
우도 라우흐플라이슈 지음, 장혜경 옮김 / 심심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인터넷에 올라온 고민글들을 보면서 가끔은 의아해한다. 저 사람은 왜 저렇게 그 문제에 매달리지? 왜 잘못된 관계를 계속 끌고가지? 처럼 그 사람의 선택과 결과에 대해 그 사람에게 좋은 선택을 하라며 화를 내다가 결국 포기해버리고 만다. 지 팔자 지가 꼰다라는 말을 줄임말 '지팔지꼰'의 선택을 하는 사람들의 이유는 뭘까? <가까운 사람이 의존성 성격 장애일 때>에는 의존에 대한 11가지 사례에 대해 소개해있다.

사소한 일에 확인을 받아야하는 사람, 혼자서는 아무것도 선택못하는 사람, 애인에게 매달리고 그런 애인에게 책임감에 시달리는 사람, 매사에 우유부단하고 자기주장이 없는사람, 자신의 의견과 반대되는 사람에게 과도하게 화내는사람, 종교단체에 과몰입하는 사람, 부모에게 얹혀사는 캥거루족, 성인사이트나 포르노에 중독된사람, 가정폭력가정 등 책에서 소개하는 사례들이 인물들은 다소 극단적인 측면이 없지않아 있지만 현실에서도 충분히 볼수 있는 사람들이다. 심지어 이사람들은 멀쩡히 자신의 부모가 있고 친구도 있고 일을 다니는, 그러니까 그냥 이렇게 의존성이 높아지기 전에는 평범한 사회구성원중 한명으로 볼수있었다.

책에서는 책을 읽는 당사자가 의존성 성격장애 환자일 경우와 또는 그 환자의 가족이나 친구라고 가정했을때 대처법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다. 만병의 근원이 스트레스, 무절제한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운동하기, 일찍자고 일찍일어나기같은 것처럼 여기서도 반복해서 나오는 이야기가 있다. 주변인이라면 먼저 환자를 지나치게 비난하지않고 그가 전문가에게 치료를 받을수 있도록 부드럽게 타일러야하며 다시 그 사람이 나에게 매달리는 악순환이 아닌 환자가 자립해나갈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환자 역시 이런 주변의 의견과 도움을 뿌리치고 스스로 해결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수용해야하지만 환자나 주변인이나 이 해결하는 과정은 정말로 길고도 힘든 싸움이 될거라는 것을 꼭 다짐해야한다는 것이다.

사실 읽으면서 나는 <가까운 사람이 의존성 성격 장애일 때>읽기 전 나오는 사례들보다는 그래도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했지만 캥거루족이야기가 나왔을때는 뜨끔했다. 현재 부모님과 같이 사는데 분명 불편한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장의 안락감과 편안함때문에 부모님집에서 얹혀살고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언급된 성인나이의 아동화가 나를 표현하는 정확한 포인트라고 생각했다.

아무래도 이 책을 처음 보는 사람들은 나와 비슷하게 이런 의존성 성격장애는 마음이 약한 사람들이나 발생하는 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경우와 정도의 차이만 있을뿐이지 생각보다 그 어떤 결핍과 갈망 없이 스스로 두발을 딛고 씩씩하게 걷는 사람들은 없을것이다. 우리는 누구나 성장과정과 일상생활에서 겪었던 차별, 분노, 자격지심, 비판, 고립, 사건이나 트라우마에 자유로울수가 없고 아주 작은 트리거에 발동되어 사람이나 물건, 현상에 집착하고 매달리게 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런 일들은 부끄럽거나 수치스럽게 생각하지 않고 주변친구들에게 도움을 받고 전문가에게 진료를 받아 고쳐나가는 자세야말로 정말로 나 자신을 지지해줄수 있는 사람이 될수있을거라 생각이 든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