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그리움은 아무에게나 생기지 않습니다
박근혜 지음 / 가로세로연구소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친 나 빼고 다 미친놈투성이네요. 우와 사면됐으면 조용히 죽은듯이 살지 책을내다니. 문자 하나하나가 기가차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이야기
정현채 지음 / 보담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 한개도 아깝다.
양심이 있으면 역사왜곡 하지 마시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amGiKim 2021-01-28 2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습니다. 그냥 저기 나오는 엄마는 주옥순인듯 합니다.

김서현 2024-02-08 14: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역사 공부 제대로 하시라~
 
어린이책과 일러스트레이션
마틴 샐리스버리 지음, 경노훈 옮김 / 아트나우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별 한개도 아까운 번역. 경노훈 씨 반성하세요. 독자들을 일일이 얼굴 보고 만약 이 책 읽어주신다고 하면, 아마 민망해서 얼굴이 불타오르실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 때문에 틈틈이 읽어서 스토리 진행이 끊어질 줄 알았는데 절대 그렇지 않은 책이었다. 책을 다시 집어든 순간마다 한 번에 훅 막힘없이 읽혔는데 그건 아마 너무도 비슷한 나의 이야기였기 때문일 것이다.

가부장적인 아버지, 여자임에도 그 가부장적 분위기에 정면으로 맞서시지는 않는 어머니, 삼남매 중 둘째 딸인 나의 위치까지. 어쩜 이리 똑같은지 괜시리 기분이 나쁠 지경이었다. 하나 다른 게 있다면 내 이름이 김지영이 아니라는 거에 위안을 삼아야 하는걸까.

 

소설은 처음부터 끝까지 오로지 김지영씨가 일생동안 여자로서 겪어야만 했던 사회 구조적, 그리고 통념적 차별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다. 딱 차별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을 뿐 그에 따른 어떤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이나 우리 자신이 어떤 태도와 마음가짐을 가져야 다음 세대에게는 이 유산을 물려주지 않을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은 소설 속 등장인물 누구에게도 없다. 나는 작가가 김지영씨의 입을 통해 어떠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줄 알았다. 하지만 결말은 고작 김지영씨 담당 정신과의사조차도 다음 직원으로는 임신의 가능성이 없는 미혼여자를 뽑아야겠다고 말하는 것이었다.

 

글쎄, 어떤 사람들은 이 소설이 적나라하게 현재 여성들의 주소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며 좋아할지 모르겠지만 나에겐 너무나 불편한 소설이었다. 왜 이런 찝찝한 기분만 남았을까 곰곰이 생각해보니..

김지영씨에게, 그리고 나에게 그동안 여자로서의 차별을 안겨줬던 사람들 모두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고, 나는 그들에게 원망의 화살을 겨누고 싶지 않아서 일 것이다. 은연중에 동생과 나를 차별하던 어머니, 남자로 태어났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나는 받지 못했던 혜택을 누렸던 남동생. 아이를 위해 직장을 포기해줄 것을 부탁하던 남편. 나에게 '여성' 이라는 프레임을 씌우며 내 인생에서 '여성'이 아닌 진정한 '나'를 아웃 시키며 나에게 가장 큰 차별을 제공하던 그 사람들을 나는 너무나 사랑한다. 그렇기에 탓하고 싶지 않고 생각하고 싶지 않고 물 흐르듯 순응하고 싶었던 감정들을 들춰냈기에 이 소설이 불쾌하지 않았을까.

 

소설 속 김지영씨가 마지막에서만이라도 조금 다른 모습이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남편에게 맘충이라는 단어를 들었던 그 상황을 쏟아내고 당신은 아이를 낳음으로써 포기하는 게 뭐냐고 외치는 모습 말고.. 아이를 낳아야 한다고 주구장창 말만하지 실질적인 육아지원과 여성의 일자리 보장에는 눈꼽만큼의 책임도 지지 않는 정책들과 '맘충' 이라는 단어를 아무렇지도 않게 써가며 무슨 하나의 사회적 이슈이자 아이콘마냥 취급한 각종 언론사, 무수히 많은 군중들... 그들에게 저항의 목소리를 내는 용감한 여성이었으면....... 싶지만... 그래.. 도대체 누구에게 따져야할지 모르겠는 이 커다란 장벽 앞에서 당당히 목소리를 내는 여성이었다면 더 이상 '평범한' 김지영씨는 아니었을 것이고 소설 속 주인공으로 캐스팅 되긴 힘들었을 것이다.

 

가정 속에서 남자형제들과 차별을 받아왔으며 임신과 출산으로 잘 다니던 직장을 포기해야만 했고 처녀적의 자신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이 24시간 아이만 돌보며 창살 없는 감옥, 고인 물처럼 썩어가는 자신을 발견해가고 있는 사람이라면 .. 자서전 읽는 느낌으로 읽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포크레인 빌리
페터 크노르 그림, 얀츠베르크 글 / 행복한아이들 / 2002년 12월
평점 :
품절


중장비가 나오는 책이어서 어렵게 구한.. 절판책입니다.

절판책이지만 이렇게 리뷰를 남길정도로! 아이가 너무너무 사랑하는 책이에요.

 

일단 단순히 중장비가 많이 나와서 좋아하는 게 아니라

빌리가 활약해서 포크레인을 고치게 되는 내용을 좋아해요.

 

아직 18개월이어서 얘가 뭘 이해할까? 싶었는데.. 단순히 그림만 볼 줄 알았는데

중장비가 잔뜩 나오는 페이지는 그냥 넘어가고 빌리가 활약하는 장면만

무한반복입니다. 흐뭇한 미소를 지으면서요.

 

아이 입장에서는 그렇게 뭔가 해냈다는 게 굉장히 의미 있는 일이라는 걸

다시 한 번 깨닫게 해준 고마운 책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