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라는 고통 - 거리의 사진작가 한대수의 필름 사진집
한대수 지음 / 북하우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째서 우리는 ‘사는 것이 고통’이라고 말할까? 살다 보면 기쁜 날도 있고 힘든 날도 있다. 좋은 날도, 좋지 않은 날도 영원할 수 없는데, 언제 어떤 일이 일어나서 며칠 동안 이어질지 알 수 없어 우리는 늘 ‘불확실성’을 안고 살아간다. 무엇 하나 확실하게 알 수 없어 마음 한편에 불안함을 가지고 살아야 하기에 ‘삶은 고난의 연속’이라고 표현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살아있기에 서로 갈등하고 해코지한다. 명백한 의도를 가진 말로 타인을 음해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무력을 행사하여 상대방을 자신의 지배 아래에 두고자 한다. 가끔은 ‘서로를 공격하고 지배하는 것이 인간의 본능인가’ 의문이 든다. 정말 그것이 인간의 본능이라면, 인정(人情)의 뜻을 ‘사람이 본래 가지고 있는 감정이나 심정’, ‘남을 동정하는 따뜻한 마음’으로 정의해도 괜찮은 것일까? 사람의 본성은 선하다는 성선설을 믿어도 되는 걸까? 만약 타인을 해치려는 의도와 행동이 후천적으로 학습된 것이라면, 어째서 우리 사회는 남을 짓밟아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가르치는 것일까?



고통스러운 삶 속에서도 사람들은 꿋꿋이 살아간다. 누군가는 죽지 못해 살아간다고 말하지만, 모두들 최선을 다해 자신만의 하루를 살아내고 있다. 과연 무엇이 우리를 버티게 만들고, 고난이 끊이지 않는 인생을 의미있게 만드는 것일까? '내일은 오늘보다 나아질 거야', '참고 버티다보면 좋은 날이 올 거야'라는 희망 아닐까 싶다.

좋은 일보다는 나쁜 일이 우리의 기억 속에 오래 머무른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모든 일이 꼬여버린 것 같은 하루에도 좋았던 일이 하나쯤은 있고, 그 사소하지만 행복했던 기억이 우리를 버티게 한다. 세상에 혼자 남겨진 것 같은 순간에는 언젠가 따뜻한 말을 건네준 사람이 떠오르고, 일이 생각만큼 잘 풀리지 않아 답답한 순간에는 과거의 내가 이뤄낸 작은 성취들이 버팀목이 된다.

좋아하는 노래 가사 중 ‘걸어온 길은 한바탕 마술 같아, 좋은 것과 나쁜 것 모두 내 것이 되니까’라는 부분이 있다. 책의 제목인 ‘삶이라는 고통’과 연관 지으면, ‘고통스러운 순간도 지나고 나면 경험이고 성장의 계기가 된다’라는 의미로 느껴진다. 작은 고비를 이겨낸 경험은 앞으로 힘든 일을 마주했을 때 극복할 수 있는 자원이 된다.


많은 사람들이 '삶이라는 고통' 속에서도 꿋꿋하게 버틸 수 있기를, 온 힘을 다해 견뎌낸 사람들의 이야기가 모여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갈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