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니어스 - 실리콘밸리 인재의 산실 ‘스탠퍼드 디스쿨’의 기상천외한 창의력 프로젝트
티나 실리그 지음, 김소희 옮김 / 리더스북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내가 지금 일하는 것처럼 열심히 했으면 OOO를 갔다." 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알고 있는, 귀에 익은 단어라 나불거리기 쉬워서 일테다. 이처럼 살아가면서 외국의 명문대에 대한 로망은 끊임 없이 되새김질 되곤 한다.

명문대는 그저 유능한 인재들이 가는 학교가 아니라 그 속에서도 인재들이 더 큰 지식의 확장성을 갖도록 그리고 잠재력에 더불어 수많은 가능성의 영역을 도전해 세상의 번영을 누리게 할 수 있는 인생의 가이드가 될 수 있다고 여긴다.

지식의 한계를 넘어 창의성과 혁신을 교육하고 미래에 대한 도전의식을 불러일으키며 더 나아가 이 세상에 필요한 지식, 능력, 태도를 가르치는 스텐퍼드의 디 스쿨을 통해 창의적 사고가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원동력과 결과를 이끌어내는 비밀을 알아내기 원한다.

 

 

 

 

생각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스탠퍼드의 가이드

 

 

" 우리 각자에게 발산되길 기다리는 창의적인 재능이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인지니어스는 "자연적 능력" 또는 "타고난 재능"이라는 뜻의
라틴어 "인지니움(Ingenium)"에소 유래했다.
우리는 자신의 타고난 발명성에 불을 지피는 것은
자기 자신에게 달려 있다는 걸 안다 "
- 서문 中

 

 

 

언제나 그렇듯 특별하다고 여기는 특정의 사람들이 인지니어스인 건 아니라는 거다. 인지니어스 인가 아닌가의 차이는 생각을 생각으로 멈추는가 행동으로 옮기는가의 차이. 바로 나 자신의 선택에서 도달하게 되는 결과라는 것이다.

 

 

 

 

첫 번째 해결책의 함정

 

 
 
"어떤 문제에 대한 첫 해결책이 언제나 최선의 해결책인 건 아니다.
사실, 훨씬 나은 해결책들이 발굴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문제에 직면할 때 맨 처음 찾은 해결책은 빤하다.
두 번째는 더 흥미롭다.
당신이 창출한 세 번째 아이디어는 훨씬 더 창조적일 것이다."
- 브레인스토밍 中
 
 
 
모든 사람은 문제를 그냥 두고 싶어하지 않는다에 동의한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 얼마나 많은 생각을 하고 실천하고 실패를 반복하며 그 과정 자체도 답이 될 수 있고 여기서 얻어지는 해결책을 통해 더 확장된 우리의 사고를 확인할 수 있을거라는 것이다. 

 

 

 

 

포지셔 

"위대한 도전과 커다란 상은 많은 위대한 업적의 동기부여가 되었다.
가령 1919년 오티그상(Orteig Prize)은 뉴욕에서 파리까지 최초로 논스톱 비행을 한 사람에게 2만 5,000달러를 걸었다.

이런 경쟁은 수많은 실험을 자극하고
결국 찰스 린드버그의 유명한 1927년 비행으로 이어졌다.
더욱 주목할 것은 존 F.케네디 대통령이 1961년에 도전을 설정한 지 9년이 채 지나지 않아서 미국이 달에 사람을 착륙시킨 것이다."
- 포지셔닝 中

 

dl

 

이 책을 읽으며 떠오르는 생각은 내가 과연 창의적인 생각을 가지지 못한 사람인가 아니면 생각을 하지 못하는 사람인가였다. 경력 혹은 평가에 반영될까 하고 마음에도 내키지 않는 시험을 소홀하게 준비한 채 부랴부랴 환급받지 못한 수검료가 아까워 그 먼길을 달려 무의미한 시험을 보느라 금쪽같은 주말을 버린,  나 자신을 위한 최선을 택하지도 못하는 결정장애와 후회로 일상을 사는 나는, 혹은 우리는 주어진 창의력조차 받지 못했다고 떼를 쓰는 유아기의 사고를 벗어나지 못하는 건 아닐런지. 책이 끝날 즈음 내 안에 아니 우리 안에 잠재되어 있는 창조의 재능이 열리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