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가 내려온다
오정연 지음 / 허블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어가 내려온다> 오정연 지음, 허블 출판사

 

  원래 SF소설을 즐겨 읽는 편은 아니다. 그런데 <단어가 내려온다> 라는 이 제목을 보면서 내용이 너무 궁금해졌다. 도대체 이 제목은 무슨 뜻일까, 단어가 비처럼 내리는 지구? 아니면 그 어떤 무언가? 그렇게 이 책을 만나게 되었고, 여전히 나는 책의 앞 뒤 표지부터 열심히 읽었다. 영화 <벌새>의 김보라 감독이 쓴 추천사가 적혀있었다.

  “책을 읽으며 무언가가 무척 그리워졌다. 아주 먼 어딘가에 놔두고 온 감정, 기억, 잔상들이 하나둘 스쳐 지나간다. 이제는 놓쳐버린 모든 현재, 지나가 버린 아름다운 찰나들이 인사를 한다.”

먼 미래에도 우리는 결국 지금처럼 느끼고 다투고 사랑하고 있겠구나.”

  책을 읽기 전에는 무슨 뜻일지 너무나도 궁금했지만, 책을 읽고 나니 내가 느낀 감정이 이 감정이었구나, 나와 비슷한 생각을 했구나! 라는 것을 느끼게 했던 추천글.

 

  책은 <마지막 로그>, <단어가 내려온다>, <분향>, <미지의 우주>, <행성사파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영원>, <일식>의 총 7개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인상깊었던 건 <마지막 로그>. 안락사가 가능한 2078. 스스로 생을 마치고자 안락사 센터인 실버라이닝에 입소한 주인공과 담당 인공지능 로봇인 조이의 마지막 일주일을 보내는 이야기이다. D-6부터 D-day까지의 이야기를 읽으며, 어쩌면 주인공이 아직 죽고 싶지 않은 것은 아닐까, 조이가 주인공을 살리진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다. 로봇 조이의 프로그래밍도 의뢰인의 감정을 읽어 안락사를 취소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었으나, 조이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조이는 자유의지라는 오류가 생긴 로봇이었고, 맑은 마음으로 쌓아 올린 결심을 충동적으로 되돌린 인간들이 어떻게 망가지는지 보았기 때문이다.

  “A17-13은 이후 내가 연기 권유 메시지를 무시한 첫 번째 인간이다. 고스란히 그 자신으로 남고 싶다는 A17-13의 의지는 살고 싶다는 본능만큼 강렬했다. 인간, 아니 생명의 무한한 능력은 익히 알고 있으므로 A17-13 역시 주어진 시련을 극복하고 살아남을 수 있을 터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A17-13은 자신이 아닌 다른 존재가 될 것이었다. 그는, 그리고 나는 그러지 않기를 원했다.” (p.50~51)

  저 문장을 읽으면서 뭐라 표현해야 할지 애매하던 내 감정을 작가의 말을 읽은 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우아하게 삼을 종료할 선택권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싶은 줄 알았는데, 몇 번에 거친 개작을 통해 나는 사실 온전한 자신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하고 싶었음을 깨달았다.” (p. 256)

  온전한 나 자신으로 살 수 있는 권리. 지금의 나 또한 생각해 보아야 할 내용.

  그리고 마지막 결말까지 예상치 못했던 내용이라 더 기억에 남았다. 보통 내가 본 SF영화들은 자유의지를 갖게 된 로봇들의 도망이나 삶에 관한 이야기였는데, 이 소설의 로봇은 사전에 지정된 와이파이를 통해야만 작동하기 때문에 실버라이닝의 경계를 벗어난 뒤 3시간 후 끝나고 만다. 꽤나 충격적이었던 내용.

  아, 그리고 표제작인 <단어가 내려온다>의 뜻은 단어가 비처럼 내려온다는 뜻은 아니었다! 국어학 SF라니 정말 경험해 본 적도 없는 내용. 생각보다 어렵고 생각보다 재밌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