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혼공법 - 최상위권 아이들의 공부 코드
김성태 외 지음 / 베가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벽한 혼공법>

혼공이란 혼자하는 공부이지요.

코로나 시대를 반영한 책이기도 합니다.

요즘 학원이든 학교든 잘 보면 정부방침에 의해 막혔다 풀렸다를 반복하며

결국 공부는 혼자하는 것이 강력한 힘인 자기주도학습법이 인기를 끌정도이지요.

여기에서도 혼자하는 공부법의 강력한 힘을 안내해 주기도하며,

앞으로의 아이들 세상은 이 코로나가 시작일수도 있다는 생각을 많이해보며

스스로 공부하는 법을 더욱 찾아주고자 읽어보았습니다.

이 책에서는 상위권의 아이들을 더 집중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상위권아이들일수록 정말 주도학습체계가 잘 잡힌것을 종종 봅니다.

그 이후의 방법은 무엇이 있을지 궁굼하기도해서 읽어보았습니다.

읽어보니 뾰족한 비법이 주어지지는 않지만,

항상 반복되는 공부법의 수많은 내용들을 보면 그것을 지켜행하는자와

그냥 좋은 공부법을 그냥 아는자로 구분된다고 생각합니다.

저자는 4인으로 대치동에서 유명한 믿고읽는

공신 김성태, 박명희, 임정빈, 김대열 선생님들이 만들었습니다.

김성태 선생님은 워낙 유명한 선생님이셔서 정말 믿고 읽었습니다.

이래서 인지도가 중요함을 다시한번 느껴보았네요.

 

 

읽기 편하도록 대제목밑으로 소제목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누구나 멋진 미래를 상상하며 노력을 하고 살아가지만,

그것이 힘에 붙이거나 포기하는 상황도 종종 찾아옵니다.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고 버린 오늘 하루는 영영 되돌릴 수 없습니다.

하루하루를 소중히 여기며 내가 지금해야하는 것을을 더욱 집중해야함을 인지합니다.

초등학교때 잡히지 않는 공부법인 중학교때?

그럴 확률을 거의 없다고 합니다.

중학교때 못했으니 고등학교는 곧 대입을 앞두고 심기일전해보자!

라고하지만, 본인만 열심히 일까요?

모든학생들이 본인의 현재상황을 보면 모두 심기일전입니다.

따라서 공부법은 일찍부터 올바른 방법이 자리잡히지 못하면 결국어려워진다는 점이 무섭게 들렸습니다.

모든 아이들이 성격 가치관 모든 부분이 섬세하게 하나씩 다릅니다.

그렇기에 부모들도 아이들의 성적이나 성격 또는 생활패턴은 파악한 맞추식 사교육이 필요함을 이야기합닌다.

저희 아이는 아직 초저이지만 스스로 자리에 앉아서 끄적이는 것을 좋아하다보니,

학습을 할때 보면 엉덩이 힘이라고 하나요? 오랜시간 잘 앉아서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다른한아이는 엉덩이가 가볍지요ㅋ

그 아이는 그 아이의 사고에 맞게 행동 방식에 맞추어야만 공부가 짐으로 느껴지지 않는다는것...

아주 아주 어려운 이야기였습니다^^

 

 

 

공부의 목적의식이 있어야만 더욱 동기부여가 가능함을 알려줍니다.

공부를 하면서 옆집 친구가 해서?

엄마가 하라닌까?

이런 의미는 결국 목적지없는 그냥 정처없이 흐르는 강물같은 것이지요.

무엇인가의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나아가는 친구들이 많아지길 기도합니다.

매일매일 꾸준히 운동해야 체력이 좋아지는 것처럼 독서또한 독서근육이 필요하다고 설명하네요.

정말 독서근육...... 독서는 하루아침에 책이 읽혀지지 않지요.

짧은 칼럼이라도 조금씩 조금씩 매일 꾸준함을 가지고 관심을 갖을때,

비로소 더 긴글 더 긴호흡을 따라갈수있는 내용입니다.

독서의 중요성을 어느 누구나 공감하는 부분이기에

저는 정말 독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육아하는 편입니다.

이것의 좋은 양분이 되어 아이들에게 좋은 열매가 맺어지길 바랄뿐이지요...

 

 

 

성공!

듣기 좋은 말이면서도 무섭고 설레는 단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분명 성공한 사람들은 본인들만의 분명한 루틴이 존재함을 알고있습니다.

좋은 습관도 있고 나쁜 습관도 존재하지만,

성공한 사람들의 자서전을 읽으며 좋은습관을 따라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일때

시간과 정성을 들이면 분명 나의 것이 됨을 느낍니다.

아이들에게도 매일아침 아이들 신문을 같이 읽습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아침에는 간단한 읽기훈련으로 저희집은 시작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좋은 습관은 남의 것이 아닌 정말 정성과 시간을 들여 노력한다면

나에게도 분명 좋은 영향력을 미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좋은 자기관리법을 통해

한번쯤 따라해보고 싶은 이야기들이 많이 삽입됩니다.

어른들이 읽어보고 아이들에게 실천을 약속만 하는 것이아닌

부모도 함께 해보면 아이들도 더욱 좋아할것이라고 생각해보면서 마무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