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리어 책육아 - 13년차 교사맘의 우리 아이 생애 첫 도서관 육아
최애리 지음 / 마더북스(마더커뮤니케이션)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캐리어 책육아

저는 독서 양육서를 매우 좋아하고,

시중의 책은 100여권 읽고 있습니다.

이유는 비슷한 내용이고 어떤 책은 같은 내용이 나오기도 하지만

책을 읽고 읽다보면 알고 있지만 실행이 어려운 부분이 많지요...

하지만

아이들 양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독서 양육책은 읽을때마다 동기부여를 주고

실행이 가능하도록 나를 일으켜세워주기 때문에 무슨 내용일이 예측이 되어도 읽습니다.


이번 캐리어 책육아도 비슷하지만 획기적인 아이디어적인 면이 있는 부분에 감동받았습니다.

3남매까진 이해했지만, 저자는 학교 교사입니다.

거기에 사업하는 남편을 둔.... 이미 가시일은 전적으로 담당일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지요.

책을 읽으며 저자에 대해 감탄하지 않을수없었습니다.


캐리어의 목적은 아이들에게 질적인 양적인 독서가 가능하도록 운반의 개념이였습니다.

한주에 50여권을 대출하고 반납하는 것도 어려운일입니다.

요즘 필독도서책을 8권 9권 빌려와서 읽고 반납하다보면

날이 더워서 너무 힘들고 책이 10권되면 어꺠도 너무 아프고 지칠때도 많습니다.

이 부분을 어떻게 극복하고 아이들에게 3년동안 6천 2백권을 완독시킬수있었는지 소개해 보겠습니다.


 

캐리어를 끌고 다니며 도서관을 다닌다....

생각만 해도 굉장하지 않나요?

저도 도서관을 매주매주 다니지만 캐리어 끌고 다니는 사람을 본적은 없는데,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되어집니다.

거리도 거리고 책의 무게도 만만치 않습니다.


저자는 삼남매와의 도서관을 캐리어를 끌고 여행개념으로 갑니다.

아이들에게 도서관은 무한한 도착점이 될 수 있는 것이지요.

이 부분에 참 새롭게 다가왔습니다.

어느 책을 집는 냐에 따라 아이들도 어른들고 그 세계에 들어가게 되듯,

여행의 개념 독서


저자의 어려움은 삼남매의 모두 좋아하고 흥미를 갖는 부분이 다르다는 것이지요.

연년생의 남매와 막내까지....

하지만 그 갈증을 저자는 간파합니다.

그것을 알아차린후 아이들의 개성에 맞게 각각 주어진 부분의 독서를 시킵니다.

그 후로 연년생 남매는 읽기 독립을 통해 책을 더욱 집중하게 되지요.
 


이 글귀가 이 책을 읽으며 가장 마음에 와닿는 부분이였습니다.

저도 책이라고 하면 거의 매일 읽는 편입니다.

그것은 그 책에서 부터 얻는 안식을 취하려 하는 부분이큼니다.

저와 저자의 공통점은 원래는 책을 그렇게 많이 읽는 부분은 아니였지만,

아이들의 독서를 위해 다니던 도서관이 나를 치유하고 나에게 유일한 취미를 붙여준것이지요.


"지금 지친 나를 치료해줄 영양제와 치료제는 병원이 아니라 도서관에 있을지도 모른다.

도서관이 주는 위로와 처방을 꼭 찾아보길 권한다."


이 글귀 입니다.

시의 적절한 책을 몇백억과 바꿀수없는 것같습니다.

저는 이말에 200아니 300% 공감합니다.

몸이 아프기전 마음이 항상 먼저 아픈것같습니다.

이때를 대비해서 미리 처방할수있는 것은 책인것같습니다.
 


불을 끄고켜는 스위치를 독서에 가져다 쓴다?

새로운 발상이지만, 가능하다면 그렇게 하고 싶은게 부모욕심입니다.

그리고 저자의 생각에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독박 육아가 아닌 독점육아라는 표현.

우리도 종종 집안일과 아이들 육아를 독점 육아라고 하지만,

이것을 저자와 같은 생각의 변화를 줄때

아이들을 더욱 나를 사랑해 주고 그 사랑을 아이들에게 나눌수있게 된다는 점입니다.

생각의 변화는 큼니다.

남편에게 육아를 기대하는 것보다 비록 힘들더라도 생각해보면

우리의 힘들다고 생각되어지는 육아는 10년?길면 15년이면 끝입니다.

이 부분은 부모의 희생을 통해 원만한 자녀관계가 형성된다면 전 과감히 희생할 생각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