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간디야! 평범한 사람이 세상을 바꾼다 7
브래드 멜처 지음, 크리스토퍼 엘리오풀로스 그림, 마술연필 옮김 / 보물창고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간디야! 책을 받고는 아이들이 그림을 보며 너무 좋아했습니다.

WHO인물에서 간디를 읽은 큰 아이는 아는 이야기여서인지

흥분을 하며 읽었습니다.

하지만,

그림은 귀여운 간디이지만 내용은 가볍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같이 읽어보며 현재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 좋았습니다.


 


이 장면을 두아이들이 가장 베스트로 책을 읽은 후 꼽았습니다.

학교에 갔던 간디는 맞춤법이 틀리자 선생님은 다른 남자애의 시험지를 보며 배끼라고 합니다.

이장면에서 너무 놀란 아이들은 그래도되요? 라고 물었지만,

잘 생각해보자~라며 중간 독후활동으로 이어졌습니다.

이 이야기는 책을 읽자마자 아이들에게 굉장한 궁굼증을 갖게해주었습니다.


그리고 사진은 간디가 좋아하고 소중히 여기는 이야기입니다.

샤라반은 부모님을 지극정성으로 모셨는데,

부모님이 너무 늙으셔서 여행하기 힘들어지자 그야말로

등에 지고 다닐 정도의 효심을 나타냈다는 이야기 입니다.

이 그림을 보고도 아이들과 이야기를 오랫동안 나누었습니다.


 


 


정치지도자인 아버지 아래 간디는 잘 성장하여 변호사가 됩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사건을 맡게되어

기차를 타고 이동중의 이야기 입니다.

백인의 남성이 간디같은 인도인이 1등석에 탑승했다는 것이 불쾌하다며 승무원을 부릅니다.

간디에게는 1등석의 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쫓겨나는 상황에 처합니다.


아이들은 황당하다고 말했지만,

왜 영국이 인도를 지배했냐며, 영국은 나쁜나라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예전 우리나라도 일본의 지배를 받은 이야기를 알려주며,

식민지의 생활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니 간디의 상황을 무척 가엽게 생각하더군요...


 


 


간디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머물면서 인도인들이 그 지역에서 더 활동적일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간디가 고집한 3가지의 주장이 있습니다.

1. 비협조 또는 시민 불복종

2. 비폭력

3.무소유

이것을 가지고 아이들에게 비협조와 비포력, 무소유에 설명해주자.

큰아이는 유관순 언니랑 비슷하다며, 좋은 방법이라고 칭찬했습니다.

3.1운동을 펼친 유관순도 태극기 한장으로 비폭력 운동가인것을 알아차린것이지요.

이렇게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의 한단락 정리가 되며 인정받습니다.


 


결정적인 간디가 들어납니다.

본인을 괴롭히던 사람에게 마지막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떠날때 선물을 합니다.

그의 확실한 인간미가 들어나는 장면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결국 이로 간디는 진정한 힘은 남을 용서하고 인정하는 것에 있음을 알게해줍니다.


 


여러번 감옥생활을 할 수 밖에 없게 되지만,

풀려난 간디는 결심을 합니다.

비폭력운동으로 영국의 통치아래 벗어나기를요....

그래서 결국 선택한 것은 걷기입닌다.

간디의 나이 60세였고 400키로를 걷기로 합니다.

날마다 15키로씩은 걸은 것이지요.

맨처음엔 78명으로 시작한 비폭력운동은 수천명의 군중들로 불어나

 길이가 3키로미터 뒤까지 이어졌다고하니 굉장한 비폭력 운동이라고 생각되어집니다.

24일뒤 목적지에 도착하여 간디는 영국정부가 허용하지 않은 소금을 보유한 행동을합니다.

그로인해 다시 감옥생활이 시작되지만,

간디를 많은 사람들이 따라하게됩니다.


 


결국 간디가 많은 이들에게 알리고자 한 사상이 있다면,

비폭력 평화사상이라고 말할수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모두가 평화롭고 본인의 목소리를 가지고 살아가는 날을 기대하며,

간디는 부드러운 방식으로 세상을 뒤흔드는 모습을 우리 친구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던것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