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으로 가는 23가지 방법 바일라 9
김혜진 지음 / 서유재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력적인 책의 제목이 아닌가싶다.

 나는 항상 책 표지와 그림을 보며 내용을 생각해 본다.

책을 받고 바로 드는 생각은,

이 소녀는 무슨 생각을 하며 누워있는 것일까?

이 소녀는 무슨 걱정이 있나?

집으로 가는 23가지의 방법이라니....

분명 어떠한 사연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아이들이 깊이 잠드는 밤을 기다리며

나만의 시간이 주어지기를 기다리며 꼼꼼히 읽어보았다.



3명의 주요 인물(나, 모, 네이)로 구성된 소설이였다.

책을 읽으며 3명의 인물들의 공통점을 발견할수있다.

사소한 것이라도 알아보고 모으는 것이다.


태어나서부터 아파서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는 언니와

대학생의 오빠.

할아버지께 경제적 독립을 하지 못한 부모를 둔 이야기다.

같은 반 친구와 중고거래를 통해 알게 된 네이와 함께 여름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길을 다양한 방법으로 찾아가는 부분을 보면서 이런 생각을 했다.

청소년 문학 이듯이 요즘 청소년들의 다양한 시선을 생각하지 않았나.....

요즘은 다양한 개성으로 인정받으려는 우리 청소년들의 모습이 생각났다.

어떠한 부분이든 획일화된 모습보단

나만의 개성을 찾응 아이들의 모습.....


또는 반대로 요즘 아이들의 심리상태도 반영된 글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사회가 혼란스럽고 마음 둘곳없는 아이들의 방황하는 길.... 이라는 시선으로도 바라보았다.


하지만 다양한 방면의 생각으로 나만의 독창적인 길을 찾는다는

 의미는 아이들에게 의미있는 부분으로다가왔다.


"어디에도 너무 많은 에너지를 쓰지 말고 무엇에도 마음을 깉이 주지 말 것.

물건이든 사람이든, 어느 순간에 모두 버리고 달려가야 할지도 모르니까.

괜히 마음을 주었다간 다 버려야 할 때 너무 슬플 테니까.

마음을 잘 다녀 좋을 것.

딱딱하게, 정말로 슬픈 일이 생겼을 때 깨져 버리지 않도록.

무너지지 않도록.........."

- 본문중에서-


가장 공감되는 글귀였다.

어른이지만 이 세상을 함께 살아가는 청소년 아이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이해해 볼 수 있는 시간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