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과의 수다 - 당신의 상식은 누군가의 비상식
사토 미쓰로 지음, 이윤경 옮김 / 인빅투스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미를 바라보는 사람의 수만큼 다양한 장미가 있다. ‘사실’이란 장미가 없는 것처럼 유일하게 순수한 사실이란 건 없다. 실재하는 것은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른 저마다의 다양한 해석 뿐들이다. 거울을 바라본다. 저편에 거울에 비친 나의 해석이 있다. 나는 나를 바라본다. 현실로 존재하는 것은 모두 나이다. 현실은 내가 믿는 모든 것이다. 믿음이란 ‘이렇게 되었으면 좋겠다.’고 기대하는 것이다. 그럴 거라고 믿고 그렇게 규정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인다. 세상의 법칙이나 성공에 필요한 노력의 정도도 내가 그렇게 믿기 때문에 그렇게 다가오는 것이다.

 

눈앞에 성실한 사람이 비치는 것도 나의 믿음이다. 인생에 성실함도 필요하다고 나는 믿는다. 하지만 그 역할을 내가 담당하고 싶지는 않다. 그래서 직장동료라는 타인의 모습으로 나의 이 고정관념이 ‘현실’로 비치고 있는 것이다. 거기에 나는 ‘성실함’과 ‘무능함’이란 관념을 내 멋대로 이어 붙였다. 관념들 중에서 강하게 붙어버린 나머지 고정되어 버린 것을 고정관념이라고 한다. 내 맘대로 무능하다고 그래서 나쁘다고 믿는 내 고정관념으로 인해 분노가 솟아난다. 강하게 믿을수록 이상과 현실 사이에 커다란 간극이 생겨나고 그 차이를 메우려고 발생하는 에너지가 바로 ‘감정’이다. 하지만 현실은 모두 나 자신이라고 했다. 나는 분명 ‘성실함’은 ‘무능함’이라고 생각하지만 내 안의 깊은 곳에서는 ‘성실함’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놀랍게도 나의 관념들에 대해 관념들끼리 부딪히고 있는 것이다.

 

모든 것은 내가 기대하는 그대로이다. 나는 내 능력을 인정받지 못하는 것에 대해 분노를 느끼면서도 동료들이 성실하게 임할 때 나는 나 좋을 대로 행동했기 때문에 이런 대우를 받을 만 하다고 생각한다. 사실 어떤 식으로든 나도 성실함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현실은 내가 바라는 그대로이니 나는 지금 이 모양으로 살고 있는 것이고 앞으로 내 나름의 성실성을 발휘한다면 더 나은 모습이 될 것이다. 나는 부자가 되고 싶다고 말하면서도 월급쟁이는 큰돈을 벌 수 없다고 믿고 있다. 그래서 내가 바라는 대로 이렇게 살고 있다. 내가 정말 월급쟁이도 집을 살 수 있다고 믿는다면 매일 절약하며 무엇이든 할 것이다.

 

거울에 비친 내 머리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거울 속에 손을 넣어 머리 모양을 바꾸려한다. 거울이라는 ‘현실’에 비친 일들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땐 그것을 보고 있는 내가 먼저 변해야 한다. 현실을 바꾸려면 내 해석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 거울은 먼저 웃지 않는다. 내가 먼저 웃어야 거울에도 웃는 얼굴이 비친다. 세상은 내가 바라는 그대로이니 내가 납득할만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신은 소원을 이루어줄 것이다. 그러니 안심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