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김과 순종으로 세워가는 행복한 교회 - 나보다 우리를 먼저 생각하는 행복한 교회 만들기
김병태 지음 / 브니엘출판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에 교회가 세워진 이래로 교회는 언제나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었다. 그리고 대부분 부정적인 이미지로 시작되었다가 그 안에서 변화된 사람들로 인해서 교회의 이미지는 점차 바뀌게 되었다. 특별히 국난에 처했을 때 교회는 애국 애족에 앞장섰다. 그 결과 교회는 영향력있는 곳으로 변모하며 지금까지 이끌어 오게 되었다.
인정하고 싶지 않는 사람도 있겠지만 지금도 교회는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지금의 교회는 사람들에게 많은 지탄을 받고 있지만 그것도 사실 교회가 관심을 받고 있다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종교에도 문제가 많지만 그 종교를 사회적 이슈로 삼은 적은 그렇게 없는 것을 본 것만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교회가 사회적 지탄을 받을 때 그것을 우리에 대한 관심과 기대인 줄 알고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것이 사람들의 여론에 이끌려서 교회가 움직여서는 안 된다. 오히려 교회가 세상을 제대로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세상의 여론이 아닌 성경이 말씀하시는 것에 더욱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번에 나오게 된 행복한 교회라는 책은 그런 의미에서 읽어볼 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저자인 김병태 목사(이하 저자)는 설교학 교수이면서도 성천교회를 담임하고 있다. 그래서 목회를 통해서 경험한 것들을 토대로 우리의 눈높이에 맞게 행복한 교회의 모습을 잘 기술했다. “행복한 교회는 .....이다라는 9가지 명제를 내세우고 우리가 그런 교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것을 말하고 있다.
교회를 생각하면 많은 사람들이 초대교회를 꿈꾼다. 초대교회에 나오는 유무상통의 모습과 구원받은
행복한 교회는 가족처럼 친밀하다라는 1장의 제목처럼 저자는 교회의 정체성을 가족과 같은 공동체로 말하고 있다. 이것은 어떻게 보면 이 책의 전체 주제라고 할 수 있다. 행복한 교회는 가 아닌 우리라는 의식이 강해야 하고 우리라는 의식을 가지고 위해서 나 자신을 버리고 하나 됨을 위해서 수고해야 하는 것이다.
교회가 커질수록 더욱 더 작아지는 교회를 지향해야 한다. 교회가 점점 커질수록 그 안에 더욱 더 작은 교회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나 됨을 위한 노력은 사람의 힘만으로는 될 수 없다. 일시적으로 하나 될 수 있지만 생명력 있고 영속적인 하나 됨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성령께서 이끌어 가셔야 한다.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누가 뭐래도 교회는 성령의 공동체이다....성령이 주도하시는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온 교회가 성령의 통치 아래 있고자 하는 강한 의지가 필요하다.”(p. 37)
성령의 통치가 있다는 것은 자신의 것을 내려놓아야 함이 필수적이다. 그것이 처음에 불편할 수 있지만 그것이 진정으로 자유로와 질 수 있는 교회의 모습인 것이다.
그런데 세상의 정세와 권세를 잡고 있는 사단은 앞에서 언급한 하나 됨이나 성령의 통치를 싫어한다. 그래서 사단은 어떤 전략을 취할까? 저자는 행복한 교회는 열린 생각으로 사랑한다라는 장에서 사단의 전략을 소개한다. 사탄이 영적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어떤 작업을 하는지 아는가? 바로 우리의 생각 속에 악하고 잘못된 생각을 집어넣는다. 이러한 사탄의 전략을 모르면 영적 전쟁에서 백전백패하고 만다”(p. 115)
우리의 행동은 사실 생각 속에서 결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생각이 바르면 행동 바를 수 있는 가능성이 굉장히 높은 것이다. 그렇기에 행복한 교회를 꿈꾼다면 우리의 생각이 성령께서 지배하시도록 해야 한다.
가족은 일을 중요시 여기기 보다는 그 가족의 구성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가장 최우선으로 둔다. 행복한 교회도 이런 면에서 일보다는 사람에게 먼저 가치를 두어야 한다. 저자는 행복한 교회는 사람에게 가치를 둔다에서 사람을 소중히 여기는 공동체, 사람에게 희망을 거는 공동체가 될 때, 비로소 행복이 찾아온다.”(p185)라고 말하면서 관계 중심적이 교회가 장기적인 안목으로 봤을 때 더 효율적임을 말하고 있다.
저자의 책을 통해서 행복한 교회의 몇 가지 핵심을 살펴볼 수 있었다. 가족과 같은 공동체, 성령의 통치에 민간한 공동체, 다양한 생각이 인정되는 공동체, 사람을 중요시 여기는 공동체이다. 이런 공동체의 모습이 교회마다 나타난다면 정말 행복한 교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