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치.타락론 외 책세상문고 세계문학 38
사카구치 안고 지음, 최정아 옮김 / 책세상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일전에 다자이 오사무의 죽음에 대해 동료 문인들이 쓴 글을 읽은 적이 있다. 그 중 섬뜩했던 글은 단연 사카구치 안고의 글이었다. 다자이의 유서에 남긴 뜻을 정확하게 간파하고 있는 것 같았다. 생전에도 같이 술집을 드나들며 소통을 많이 했던 절친한 사이인 데다가, 사카구치 안고 특유의 상황을 꿰뚫어보는 능력이 더해져서 나온 결과인 것 같다.


드디어 그의 대표작을 읽었다. 대표작이라 하면 거의 이름 앞에 수식어처럼 따라다니는 작품이다. 타락론 하면 사카구치 안고이고 사카구치 안고 하면 타락론이니까.


다자이와 함께 무뢰파의 한 축을 이루었다고 하는데, 그 색깔은 사뭇 다르다. 다자이가 지금 젊은이들에게도 먹히는 섬세한 심리를 묘사했다고 한다면, 사카구치 안고는 당시 일본 패전 상황 속에서 사회에 직접적인 메세지를 던진 사람이다. 타락론 외의 작품을 보면 뭔가 현대인들에게는 직접적으로 다가가기 어려운 내용들이 있지만, 우리가 그에게서 얻어야할 것은, 지금도 패전 후 만큼은 아니더라도 난세가 지속되고 있고, 이 상황에서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어떤 자세로 살아가야하냐인 것이다. 도덕, 도덕만 고집하다가 비참하게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이 넘쳐나는데, 그의 메세지처럼 차라리 타락해라, 타락해서 본연의 자신과 마주해야 한다. 다자이는 자살로 생을 마감했지만, 사카구치 안고는 약을 먹어가면서까지 집필 활동을 하다가 뇌출혈로 사망한 것만을 봐도 두 사람이 같이 데카당스 문학을 끌어갔지만 그 포지션에 있어서는 각자의 개성이 물씬 묻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패전의 상황 속에서도 도쿄에 남아 그 현실을 보고 싶어했던 인간. 그가 포탄이라도 맞아 죽었다면 당연히 타락론도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한 위험을 무릅쓰고 적은 확률을 뚫고 살아남아, 생생한 현장을 목격하고,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할지, 어떤 의미를 찾아내고 살아가야 할지를 현장에서 고찰한 이다. 다들 정치적 목적으로 패전을 받아들이고 정신승리를 해갈 때, 사카구치 안고는 나라 단위의 정신승리가 아니고 개인 단위의 정신승리하는 법을 전파해준 사람인 것 같다. 커다란 상처를 받고서도 삶을 살아가야 하는 사람은 지금도 부지기수다. 그들이 도덕과 깨끗한 꽃만을 꿈꾸며 모두 자살이라도 해야 하나? 꾸역 꾸역 살아가고, 타락하고, 자신을 마주해야 한다. 일단 살아야 다음 봄에 꽃도 피고 푸른 새싹도 볼 수 있는 것이니까.


사카구치 안고는, 한 시대의 지식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자신의 신념이 있었고, 이를 박력있게 실천하다 갔다. 갑자기 갔어도 그는 회한이 티끌만큼도 없었을 것이다. 반면, 다자이는 시대를 이끄는 지식인은 아니었다. 문인이었다. 그만큼 그의 죽음은 본인에게도, 주변 사람들에게도 큰 아쉬움을 남겼을 것이다. 우월을 따지는 것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