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편의 이야기를 읽고 드는 의문점.왜 많은 작품이 여성 문제에 대한 요소를 담고 있는가?1. 요즘 시류가 그러하고, 문학이 그것을 반영한 것2. 뛰어난 젊은 작가들의 관심사가 그러하다3. 심사위원의 성향이 그러하다다양성이 축소되었다. 이 시대의 작가들은 할 얘기가 이것 뿐인가.아니면 심사위원의 문제인가.그 외의 작품에도, 장애인과 LGBT 얘기들까지 포함하면(문제로 인해 삭제된 작품도 그렇다고 들었다) 전부 약자의 삶을 얘기하고 있다.강화길 작가의 글솜씨는 놀라웠다. 한 두 페이지만 읽어봐도, 단 번에 끝까지 읽게 만들 정도로 재미있다. 섬세하면서도 세련된 글. 타고난 이야기꾼에게 재미난 얘기를 듣는 느낌. 그리고, 흔하지 않다.장희원 작가의 글에서 아쉬웠던 부분. 거친 성격도 아닌 그 아버지가, 아들의 그런 장면을 목격했다고 해서 그런 식으로 대응했다는 것이, 현실감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그 부분부터 몰입도가 떨어졌다.장류진 작가의 연수. 축구 이야기로 결혼 얘기를 풀어가듯, 운전 연수 이야기로 다른 하고 싶은 얘기를 풀어간다. 힘들이지 않고 재밌게 읽을 수 있다. 그런데 아쉽다. 흔해서.젊은 작가들의 생각을 살펴볼 수 있어서 좋았다.그래도 편중된 소재만을 다루고 있어서 한 번 더 아쉽다.우리 삶이 얼마나 다양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