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별에서의 이별 - 장례지도사가 본 삶의 마지막 순간들
양수진 지음 / 싱긋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20p <자살>

자살이 비극인 이유는 한 생을 마감한다는 의미로 그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은 충동적인 의사결정일 수도 있고, 오랜 고민 끝에 내린 자신만의 결단일 수도 있다. 여기에 옳고 그름의 문제는 없다. 다만 남겨진 가족의 황혜한 우울을 헤아리기 힘들 뿐이다... 새끼 잃은 어미의 처절한 절규 소리가 지천에 울린다. 장례식장의 온 벽에서 쩌렁쩌렁 튕겨나가 천년 동안 비바람에 갈리고 갈린 날카로운 돌멩이가 되어 심장에 박힌다.


29p <필멸이 필연이라지만>

원치 않아도 모든 생명은 죽음의 우연성이 느닷없이 자신을 범할 때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음을 인정해야 했다.


157p <훈계>
무언가를 배워가는 과정에서 듣는 훈계와 질책은 스스로 행동에 옮기지 않으면 번민이 되지만, 그것을 새기고 받아들이고 반응을 하면 마음속으로 공명을 하게 된다.

187p <완급조절>
삶에도 완급 조절이 필요한 것 같다. 팽이를 돌리기 시작할 땐 채찍으로 사정없이 내리친다. 그러다 어느 정도 중심을 잡고 회전하게 되면 곁에서 가만히 바라본다. 더 잘 돌라고 팽이를 계속 치면 되레 쓰러지고 만다. 때론 넘어지고 거친 바닥에 갈려 마모될지라도 나만의 중심축을 잡아가는 과정이니 그 흉터조차 아름답지 않겠는가.


214p <부모님의 죽음이란>
사회에 막 첫발을 내디뎠거나 아직은 자리를 잡지 못한 청년들에게 갑작으럽게 닥친 부모님의 죽음이란 청천벽력이다. 나중에 돈 많이 벌면 효도하겠다고 마음만 먹었지 아직 해드린 것은 없는데. 왜 부모님은 늘 한없이 베풀기만 하시고 받지는 못하시는지. 자식의 입장에서 부모의 심정을 헤아리기란 참으로 어렵다... 태어나는 것은 스스로 알지 못하고, 산다는 것의 소중함은 망각하기 쉽고, 죽을 때에는 고통 속에 떠난다. 바로 지금, 살아 있는 이 순간에 손이라도 한 번 더 잡고, 한 번 더 안아보고 말해야 한다. 고맙다고, 사랑한다고. 당신의 자녀로 태어나서 자란 건 행운이었다고.

224p <감나무와 사람>
감은 씨앗을 심으면 처음부터 감나무로 자라는 것이 아니고 먼저 고욤나무로 자라난다. 그 나무가 3년에서 5년이 지났을 때 감나무 가지를 잘라 접을 붙여야 이듬해부터 감이 열린다. 아찬가지로 사람도 태어났다고 저절로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니라, 칼로 생가지를 째서 접을 붙이는 것 만큼의 고통이 따라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그 고통은 성장통일수도 있고, 사랑일 수도 있고, 무언가를 배우면서 겪는 아픔일 수도 있다. 

230p <삶과 죽음은 다르지 않다>
나는 그 마을에서 죽음을 자연스레 받아들이고 그로 인해 더욱 행복해진 노인들을 보았다. 죽음 사이에 일상이 끼어드는 게 아니라, 일상 속에 죽음이 당연한 듯 머무는 삶. 친구의 장례식이 열리면 모두 함께 추모하고, 한낮에 산책을 하며 봉안당을 한번 둘러보는 삶 속에서 그들은 스스로를 자유롭게 하고 있었다. 삶과 죽음을 구분짓지 않고 하나의 연장선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그들의 맑은 미소의 원천도 거기에 있을 것이다. 죽음을 애도함과 동시에 그것을 수용하고 상실과 변화를 이해할 때 비로소 행복한 삶과 행복한 죽음이 완성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문학 공부법 - 통찰력을 길러주는
안상헌 지음 / 북포스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2p 

그래서 공부하는 사람은 쉬지 않고 책을 읽어내며, 끝이 없을을 알면서도 달려드는 것이다. 자신을 깨고 또 깨는 것이야말로 공부하는 즐거움이기 때문이다.


60p

공부하길 멈추지만 않는다면 지금 이해하지 못하는 문장도 언젠가는 이해하여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


63p

그렇게 되려면 읽을 때 제대로 읽어야 한다. 흘려 읽어서는 제대로 배울 수 없고 감동도 느낄 수 없으며 삶에 적용하기도 어렵다. 그간 읽었던 혹은 경험했던 것들을 기억하는 정도를 보면 알 수 있다. 우리가 기억하는 것 중 대부분은 깊이 생각하게 했거나 크게 충격적이어서 마음을 뒤흔들어 놓았던 어떤 것과 연관이 있다. 한순간 스쳐 지나가는 것들은 금방 잊히고 가슴에 어떤 울림도 주지 못한다. 책을 읽을 때도 스쳐지나가는 문장이나 정보들은 읽은 후 기억도 나지 않는다. 시선을 확 잡아끌면서 마치 시간이 멈춰버린 듯한 몰입으로 이끌었던 문장들이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다. 그것들이 우리 마음을 움직이고 새로운 선택을 하게 하며 생각에 깊이를 더해준다.


70p 

공부란 먼저 이해해야 하고 이해한 후에는 자신의 생활에 적용해서 삶에 속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새로운 문제가 찾아왔을 때 그것에 기초해서 대안을 풀어낼 수 있다. 가장 흔한 인문학 공부의 문제가 여기에 있는지도 모른다. 지식으로만 받아들일 뿐, 자기 삶에 적용할 무엇으로 현실화하지 못한다면 이것이야말로 비생산적인 공부가 될 것이다. 하나를 알아도 자신의 삶에서 적용해보고 실천적인 모양으로 새롭게 만들어낼 때 지식은 힘이 되고 삶의 기반이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자자가 된 인문학도
조현철 지음 / 지식노마드 / 201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까지의 세계사를 통해 경제사가 어떤 기술지식의 보유여부에 따라 유리하게 기울어져왔는지를 알려주는, 마지막에는 다가올 미래(고령화에 따른 취업전망, 통일과 관련한 기성세대의 부담 등.. )의 전망 또한 수록돼 뜻깊었던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으면 진짜 재무제표 보이는 책 - 구구절절 설명 없이 꼭 필요한 핵심만 전달
유흥관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무제표를 처음 보는 사람이 거부감 없이 재무제표를 볼 수 있게끔 유도한 책.
손익, 부채, 자본, 자산이라는 큰 그림에서 파생되는 지표들을 쉽게 보도록 매직 차트를 고안해 독자가 직접 실행에 옮기게끔 도와주어 재무제표를 조금 더 쉽고 친숙하게 읽게 만들어주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 - 개정판 무작정 따라하기 경제경영/재테크
윤재수 지음 / 길벗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04p 자기자본이익률(ROE) vs 은행예금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평균 자기자본) x 100

ROE가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은행에 예금을 하는 것보다 유리할 수 있습니다. 만약 A 기업의 ROE가 해마다 10%가 넘는다면 A 기업의 주식을 매수해 보유하는 것이 6%이자율 예금에 가입하는 것보다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 대비 10%이상 수익을 내는 A사는 주주들에게 배당을 줄 것입니다. 배당을 주고 남은 금액은 투자를 하거나 사내에 잉여금으로 유보를 해 둘 테고요. 이는 곧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고 주가는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국 배당과 주가 상긍을 감안하면 6%예금에 가입하는 것보다 유리합니다. 이 경우 주의할 점이 있다면 ROE가 높은 기업이라 하더라도 주가가 기업의 가치나 실적에 비해 고평가되어있는 경우는 예외라는 점입니다.


111p 주가수익비율(PER)로 저평가주식 고르기 : PER보는 요령

1. 동일업종의 평균치와 비교해 보고, 또 같은 업종 내 대표기업과 비교해봅니다. 가령 전자업종의 평균 PER이 15이고 전자업종의 대표기업인 삼성전자의 PER이 10이라고 가정해봅시다. 이 경우 전자업종 A사의 PER이 7이고 전자업종 B사의 PER이 20이라면 A사는 저평가되어있고, B사는 상대적으로 고평가되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연히 저평가 기업인 A사가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PER 수준이 같거나 그 차이가 미미하다면 PER의 연도별 추세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이 좋습니다. PER의 증감 추세가 기복이 심하다면 그만큼 기업의 수익모델이 취약하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3. PER 수준이 같은 기업일 경우에는 기업규모가 큰 회사를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업규모가 크다는 것은 자본금, 매출액, 이익 등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대기업일수록 중소기업에 비해 안정성이 높고 시장지배력도 높기 때문입니다.

4.최근년도 예상 PER이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 지표.


108p 주당 예상순이익(EPS)과 EPS를 보는 요령

주당 예상순이익(EPS)은  '예상 세후순이익/발행주식수' 입니다. EPS는 주식 1주가 1년간 벌어들인 이익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EPS가 마이너스라면 기업이 손실을 보고 있다는 뜻이며 이는 주주들의 자기자본이 잠식되어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EPS를 볼 때에는 1년 후 예상 EPS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그 후 2년 후 예상 EPS와 최근년도 실적에 의한 EPS(현재)를 동일 수준으로 참고합니다. 과거 실적에 의한 EPS는 이미 주가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있다고 보며, 2년 후 예상 EPS는 1년 후 EPS보다 변수가 많고 불확실한 예측치이기 때문입니다.

2. 예상 EPS를 볼 때도 전년대비 증감률이 중요합니다. 예상 EPS 증가율이 높을수록 그에 비례해 주가 상승률도 높기 때문입니다. 

3. 특별손익은 제외하고 보아야 합니다... 특별손익을 제외한 수치를 보려면 이브이에비타(EV/EBITDA)를 활용합니다.


120p 이브이에비타(EV/EBITDA)로 저평가주 고르기

...단순하게 PER만 보면 특별이익이나 특별손실이 순이익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순수하게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으로 기업의 가치를 알아내는 지표로 이브이에비타를 흔히 활용합니다... 어떤 기업이 순수하게 영업으로 지금과 같이 돈을 벌 경우 기업가치(EV, 시가총액=순차입금)만큼 버는 데 몇 년이 걸리느냐를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PER과 마찬가지로 기간이 짧을수록, 즉 숫자가 낮을수록 (기업이)저평가돼있다고 보면 됩니다.


123p 주가순자산비율(PBR)로 저평가주 고르기

주가순자산비율(= 주가 / 1주당 자산)은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어볼 때 몇 배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업의 청산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해 보는 방법으로 쓰입니다... 기업의 순자산이 많다는 것은 재무내용이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주가순자산비율은 재무내용(1주당 자산)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있는가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PBR이 낮다는 것은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BR이 1이면 주가와 기업의 청산가치가 같다는 뜻이고 1 이하이면 주가가 청산가치에도 못 미칠 만큼 낮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PBR은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된 것입니다.(우리가 기업 재무제표에서 자기자본이랑 시가총액을 비교하듯 PBR도 1주당 순자산으로 대변되는 재무내용과 주가를 비교하는 맥락인 것 같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