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
릴리 블레이크 지음, 정윤희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제목이 무언가 롤플레잉 게임을 연상케 하는 오묘한 모양의 이름을 하고 있지만, 우리말로 번역하자면 '백설공주와 사냥꾼'이라는 구수한 제목으로 뒤바뀌는 반전이 있습니다. 백설공주, 그러니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그 백설공주의 이야기인데요, 그 이야기를 조금 각색해서 영화화하기 위해 만든 글, 그리고 그 시나리오를 팬들에게 미리 공개하는 형식의 소설이란 느낌이 듭니다. 구체적인 형태의 영화가 나오기 이전에 콘티를 짜려고 설렁설렁 써놓은 글이랄까요. 그렇다보니 무언가 체계적이고 꽉 차있는 듯 한 진중한 맛을 느끼려 하기보다는 여러가지를 따지려 들지 않고 정말로 가볍게 마녀의 사과를 아무런 의심없이 넙죽 받아먹듯 그렇게 읽으면 좋을 듯해 보이는 글입니다.


 

 


    꽤 오래전 TV에서, 우리가 매우 잘 아는 동화의 원작은 어린이들이 절대로 읽을 수 없을 만큼의 잔인한 내용과 묘사를 담고 있다는 이야기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 기억 때문에 이 소설을 읽기 시작했을 땐 은근히 기대를 했습니다. 그리고 음흉한 미소를 지으며『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의 첫 페이지를 열어 보았습니다. 굉장히 잔인하거나, 혹은 굉장히 야하거나 둥 중 하나겠거니 했습니다. 그런데 그런 제 기대에 부흥할 만한 글이 아니라 조금 안타깝습니다. 너무 많은 것을 기대했던 것은 아니었는데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그저 어른 전용의 동화책이길 바라는 '순수'한 마음으로 읽으려 했던 것뿐이었습니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더 헌츠맨' 즉, 사냥꾼이 백설공주와 더불어 주요 인물로 등장합니다. 왕자도 아니고, 일곱 난장이도 아니고, 뜬금없이 왠 사냥꾼이 주인공이냐고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이 사냥꾼으로 말할 것 같으면 나쁜 여왕에 의해 사랑하는 아내를 잃을 수밖에 없었던 슬픈 '과거'가 있는 남자인데, 아마도 굉장히 준수한 외모를 가진 근육남이 아닐까 싶습니다. 뭣 모르던 7살의 꼬마 공주가 10년간 옥살이를 하다 때늦은 질풍노도의 사춘기를 경험할 나이즈음에 처음으로 만난 이성다운 이성이 바로 이 사냥꾼이었다는 점에서 백설공주가 이 사냥꾼을 바라보는 두 눈에 하트모양이 절로 생겨버린다 할지라도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사랑에는 국경이고, 사별한 아내이고, 뭐고 다 없는 것이니 말입니다. 다만, 왕자님같은 한 명의 인물이 또 등장하긴 하는데 이 부분이 참으로 애매합니다. 그 때문에 '과거'가 있는 홀아비 사냥꾼의 위치도 참으로 애매해지구요. 하지만 우리 시대의 엄친아인 왕자님을 제껴내고 아리따운 백설공주의 마음을 사냥꾼이 쟁취할 수 있다는 부분은 아마도 전세계 모든 홀아비들의 로망이자, 꿈 오브 드림이 아닐까 싶습니다.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은 아마 이미 개봉했거나, 가까운 미래에 개봉할 영화일 것 입니다. 이미 포스터까지 나와 있고, 또 그 포스터를 이 책의 표지에 적용한 것을 보면 더욱 그래 보입니다. 그래서 영화는 또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지 조금스레 궁금해 집니다. 그리고 영화 <그림형제 - 마르바덴 숲의 전설>같은 느낌의 영화가 될 수 있다면 참으로 좋을 것 같단 생각을 해봅니다. 타겟을 확실하게 잡고, 한 쪽을 집중공략하는 내용을 담아, 어설퍼 보이지 않을 동화가 되어야 할텐데 일단 걱정이 앞섭니다. 마녀가 백설공주에서 슬며시 다가가 음흉한 미소를 품고 건내줄 그 맛있어 보이던 빨간 사과를 일단은 제가 하나 드리겠습니다. 사과드립니다.







    "어서 신선한 걸 하나 가져와. 당장!" (45쪽)



    "맞아요." 백설공주가 피식하고 웃었다. 공주는 자기 뺨이 붉게 달아오른 것을 사냥꾼이 눈치치지 못하길 바랐다. "똥이 우리를 부르네요." (130쪽)



    이런 어설픈 결말은 공주도 원치 않을 것이다. 이렇게는 아니다. (22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