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꽃이 되다
최삼영 지음 / 하영인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으로 뜸들이지 않은 밥은, 밥이 아니듯

글에는 글쓴이의 마음이 담겨져 있다. 작가들은 저마다의 감성이 있고, 각자의 개성이 있다. 나는 주로 좋아하는 작가가 있으면, 그 작가의 책들을 모두 사곤 한다. 그러고는, 나는 유명작가와 함께 만난 것처럼, 꽤 오랜 시간 담소를 나눈 듯, 그렇게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를 한다. 어느 작가든, 한 번도 만나보지는 못했어도, 그가 쓴 글을 읽다보면, 마치 아주 가까이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누군가의 글에는 곧 그 사람의 마음이 담겨져 있기에 그러하다.

나는 매년 한 권씩, 책을 출판하자는 목표가 있다. 한 권의 책이 세상으로 나오기 위해, 꽤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간다. 하나의 완성된 글을 쓰기 위해서도, 많은 생각과 고민, 그리고 그것을 표현하는 것에도 마음과 감정이 실린다. 그래서인지, 쓰인 글은 내 자신의 일부처럼 느껴진다. 내가 지내온 날들의 부분이 담겨져 있고, 나라는 존재를 표현하고 있는 하나의 모양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누군가 내 책을 소중하게 생각해준다거나, 내 글에 담긴 마음을 알아주기라도 하면, 나는 참 뿌듯함을 느낀다. 내 글이 누군가에게 읽혀진다는 것은, 마치 내 마음이 누군가에게 닿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때때로 글에 분노가 담기기도 하는데, 뒤돌아보면 그 글을 읽는 누군가에게 미안한 마음이다. 왜냐하면 분노의 감정이 고대로 전달될 것 같기 때문이다. 요즘에는 가급적 사랑의 마음을 담고자 애쓰며, 읽는 이에게는 좋은 감정들이 전달되기를 바라게 된다.

오늘은 ‘최삼영’이라는 시인을 만나게 되었다. 그녀의 시집, 『바람, 꽃이 되다』를 읽으며, 시인의 마음이 내게 와 닿는다. 특별히, 시인만의 자주 사용하는 언어들을 보게 된다. 공복, 허기, 눈물로 지은 밥들이 바로 그것이다. 바람과 같이 공허한 인생이 꽃이 되기를 바라는 내용들이 여기저기에 위치해있다. 시인은 마음이 가난한 우리네 인생에게, “삶의 허기는 한 그릇 밥만으로 채워지는 것이 아님”을 말한다(『바람, 꽃이 되다』, 도서출판 하영인, 최삼영, p, 60). 그리고는, 한 그릇 밥알 속에 밥알만 있는 것이 아니며, 밥알에는 밥알을 지은 이의 마음이 담겨있음을 노래한다. 엄마가 차려준 밥을 먹으면, 삶의 허기짐이 사라진다. 한 그릇 밥상에는, 엄마의 마음이 가득 담겨져 있다. 사랑으로 뜸들인 밥이야말로, 참 밥인 것이다.

사랑으로 뜸들이지 않은 밥은

밥이 아니듯

사랑이 꽃피지 않은 삶은

삶이 아니라는 걸

오늘도 뉴스를 보았지만, 들여오는 소리는 절망, 분노와 울분, 아픔과 억울함, 분열과 갈등으로 가득한 이야기들이다. 그러다 눈을 돌려, 뉴스 밖을 보니 보슬비가 내리고 있었으며, 덕분에 꽤 상쾌한 공기를 맡을 수 있었다. 피조세계에 담긴 창조주의 사랑은 여전히 가득함을 알 수 있었고, 나는 가히 그 사랑을 맛볼 수 있었다. 어쩌면, 삶에 담긴 진실은 마음의 눈을 떠야 보이는 듯하다. 밥 그릇 속엔 흰 밥알만 있지 않은 것처럼, 삶을 사랑하기란 보이는 것에 담긴,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그 무언가를 발견하는 것일는지 모른다. 꽃봉오리가 품은 꽃이 만개하기를 기대하듯, 우리의 삶에도 사랑의 꽃이 활짝 피었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