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장의 구조변동 -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나남신서 42
위르겐 하버마스 지음, 한승완 옮김 / 나남출판 / 2004년 3월
평점 :
일시품절


하버마스의 진지한 사회 철학적 첫 물음이었던 공론화는 무엇인가? 그것은 어떤 구조와 변동을 보였는가?

현상적 사물에 대한 인식과 타인에 대한 인식 이것은 철학적 본질과 또는 의미론이다. 해석을 통해 그 대상이 어떤 것인가를 설명 논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진술들은 역시 타인에 의해 검증된다. 이러한 검증과정에서 후설은 사회적 검증, 상호주관성을 밝혀낸다.

그런 의미에서 위와 같은 본질과 의미론을 바탕으로 인간은 사회적인 가치를 끄집어 창안한다. 도덕과 윤리가 주창되고, 관습화되고, 그런 합의 영역을 대상을 확대해 가면서 국가라는 제도를 만들어낸다.

공론화는 이런 국가라는 제도를 전제하고 기능한다.

사적 생활 영역과 국가(공적) 영역이 구분되면서, 근대화와 더불어 공론화의 구조에 변동이 생긴다는 것이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구조변동의 요점이다.

공론장에의 참여는 국가 형태를 놓고 보면, 역사변동과 더불어 참주형에서 민주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공론장의 구조변동 초판은 근대 부르주아의 민주정에 대한 고찰이었고, 이는 맑스 이후 자본의 계급화로 인한 문제에 대한 결여로 비판받는다. 하버마스 스스로도 이러한 비판을 2판 서문에서 수용한다.

하버마스가 설파한 공론장은 근대 이후 상업화로 인한 구조변동을 주로 논한다. 그런데 초판 비판자들의 주안점은 노동계급 등의 공론장에의 참여 문제를 논한다. 이러한 문제를 포함하는 공론장의 비판문제에 까지 확대되면 이책은 단권화하기 어려운 문제에 봉착할 것이었다.

자본론이 상품이란 기초 요소를 대상으로 경제적으로 설명되었듯이, 공론장의 문제는 타당한 발언, 진술이라는 언어행위를 기반으로 해야 했다. 이런 의미에서 이는 맑스의 재구성이라는 논점을 갖고 있다. 특히 공론장의 구조변동이라는 저서에서 나타나듯이 계급화되어 공론화에서 배제되는 문제점을 저술영역 범주라는 문제점에서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